print

"알바 하는게 낫다"...지난해 폐업, 2006년 이후 '최다'

코로나 펜데믹 당시보다 높아

서울 종각역 인근 한 건물에 붙은 임대 문구.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지수 기자] 지난해 높아진 금리로 인한 외식 물가 부담과 주머니 사정으로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자 폐업한 사업자가 2006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26일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가 발표한 '최근 폐업 사업자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폐업 사업자 수는 98만6000명으로,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6년 이후 가장 많았다.

지난해 폐업 사업자 수는 코로나19 팬데믹이 덮친 2020년(89만5000명), 2021년(88만5000명)은 물론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2008년(84만4000명), 2009년(84만1000명)보다도 많았다.

폐업률은 9.0%로, 2016년 이후 7년 만에 (전년 대비) 상승세로 돌아섰다. 연도별 폐업률은 2016년 11.7%, 2017년 11.2%, 2018년 10.5%, 2019년 10.3%, 2020년 9.4%, 2021년 8.8%, 2022년 8.2%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는 소매업(27만7000명), 기타 서비스업(21만8000명), 음식업(15만8000명) 등의 순으로 폐업자 수가 많았다. 폐업률은 음식업(16.2%), 소매업(15.9%) 등 소상공인이 많은 업종이 높게 나타났다.

경총은 "음식업 등에서 폐업률이 높은 것은 진입장벽이 낮아 사업자 간 경쟁이 치열하고, 최저임금 미만율(전체 노동자 중 최저임금을 못 받는 노동자 비율)이 37.3%에 달할 정도로 비용을 감내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폐업한 사업자 중 사업 부진을 이유로 문을 닫은 비중은 절반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업 이유를 묻는 말에 사업 부진을 택한 비율은 48.9%로 가장 많았고, 이는 2010년(50.2%) 이후 가장 높은 수치였다.

지난해 폐업한 개인사업자 중 사업 부진으로 폐업한 비중은 49.2%였고, 법인사업자 중 사업 부진으로 폐업한 비중은 44.6%로 나타났다. 특히 폐업한 간이사업자 중 사업 부진으로 폐업한 비중이 55.3%로 높았다.

연령별로는 30세 미만(19.8%), 30대(13.6%) 사업자의 지난해 폐업률이 다른 연령층보다 높았다.

음식점을 운영하는 20대 A씨는 "인건비 부담으로 한참 바쁜 피크타임에만 직원을 쓰고 싶어도 구해지지 않아 울며 겨자먹기로 풀타임 직원들만 고용하고 있다"며 "직원들보다 월 수익이 적은 경우가 대부분이라 다른 가게에서 알바를 하는 것이 더 낫다"라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양세찬 장도연, 500명 앞서 뽀뽀…"그래서 제일 짜릿"

2토허제 재지정 후 30·40대 주택 매수자 크게 늘었다

3남보라 7번째 여동생 한소희 닮은 꼴?…"분위기 대박"

4오겜 오영수, 강제추행 혐의 실형 구형…"반성 태도 없어"

5율희, 새벽 4시 '이것' 하고 잠들어…살 빠진 근황

6도쿄 프린스 호텔, 내셔널 지오그래픽이 선정한 ‘도쿄 최고의 도시형 정원’ 중 하나로

7“미·중 전쟁에 ‘양다리 전략’ 취하는 EU기업들”...韓기업 취할 방향성은?

8헌법재판관 8명 전원 출근...2시간 후 '대한민국 운명 갈린다'

9“고효능·고감도 뷰티 브랜드 총출동”…29CM, ‘이구뷰티위크’ 대형 기획전 개최

실시간 뉴스

1양세찬 장도연, 500명 앞서 뽀뽀…"그래서 제일 짜릿"

2토허제 재지정 후 30·40대 주택 매수자 크게 늘었다

3남보라 7번째 여동생 한소희 닮은 꼴?…"분위기 대박"

4오겜 오영수, 강제추행 혐의 실형 구형…"반성 태도 없어"

5율희, 새벽 4시 '이것' 하고 잠들어…살 빠진 근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