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서울 빌라·오피스텔 월세값 상승세…"전세사기 여파"

월세 22개월 연속 올라

부동산 매물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서울 내 빌라와 오피스텔 월세가 계속해서 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연립·다세대(빌라) 월세가격지수는 지난해 11월 104.87로 2023년 2월(100.84)부터 22개월 연속 상승했다.

빌라 전셋값도 오르고 있으나 월세 상승세가 더 두드러진다.

서울 연립·다세대 전세가격지수는 지난해 11월 96.51로 같은 해 5월 이후 7개월 연속으로 올랐다.

빌라 월세지수가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1년 새 2.3% 오르는 동안 전세지수는 0.6% 상승했다.

오피스텔 월세도 오르고 있다. 오피스텔 월세가격지수는 지난해 11월 101.58로 같은 해 1월(100.9)부터 11개월째 오름세다.

월세는 작년 1월부터 11월까지 누적으로 1.58% 상승했다.

반면, 이 기간 오피스텔 전셋값은 0.2%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비아파트 월세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전세사기 이후 나타난 '전세의 월세화' 현상 심화와 공급 부족 문제를 꼽는다.

지난해 1∼11월 전국 비아파트 입주 물량(준공)은 3만8138가구에 그쳐 전년 같은 기간보다 37.7%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 입주는 36만5770가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3.0% 증가한 것과 비교된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전세를 끼고 빌라를 신규 분양하는 형태가 전세사기 이후 어려워져 전반적으로 비아파트 공급이 부족해졌다"며 "오피스텔도 2021∼2022년에는 전국적으로 연간 준공이 10만실 이상이었으나 5만∼6만실가량으로 떨어졌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경제계, 尹 파면에 “헌재 결정 존중…대립과 갈등 넘어 경제회복에 힘 모아야”

2‘미르4’부터 ‘레전드 오브 이미르’까지 블록체인 게임에 진심인 위메이드

3농협은행서 205억원 금융사고…외부인 대출상담사가 실행

4BYD 한국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5 이재명 "진짜 대한민국 시작…무너진 민주주의 회복을"

6"정치적 그라운드 제로"…'尹 파면' 외신도 앞다퉈 보도

7탄핵 인용에 코스피 혼조, 코스닥 상승…정치 테마주 출렁

8국민의힘 "헌재 결정, 겸허히 수용…국민께 사과"

9헌정 사상 두 번째 탄핵...'재판관 전원일치' 尹 대통령 파면

실시간 뉴스

1경제계, 尹 파면에 “헌재 결정 존중…대립과 갈등 넘어 경제회복에 힘 모아야”

2‘미르4’부터 ‘레전드 오브 이미르’까지 블록체인 게임에 진심인 위메이드

3농협은행서 205억원 금융사고…외부인 대출상담사가 실행

4BYD 한국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5 이재명 "진짜 대한민국 시작…무너진 민주주의 회복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