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美 금리 동결 가능성에 대폭 하락…9만6000달러선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 4.7%까지 올라

7일(현지시간) 가상화폐정보 플랫폼 코인게코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10분(미 동부시간) 기준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5.5% 내린 9만6686.71달러를 기록했다.
비트코인은 전날 10만2000달러대까지 올랐으나, 이날 오전 10시께 10만달러선을 내준 뒤 계속 낙폭을 키웠다.
지난해 12월 19일 이후 10만달러선을 밑돌던 비트코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을 앞두고 기대감이 재부상하면서 전날(6일) 강세를 보였으나, 하루 만에 상승분을 모두 반납했다.
같은 시각 이더리움도 전날보다 7.8% 내린 3399.85달러에 거래됐고, 리플(5.6%↓)과 솔라나(6.6%↓), 도지코인(9.6%↓) 모두 약세다.
이날 오전 발표된 미국의 경제지표가 모두 호조를 나타내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동결 가능성을 높인 것이 가상화폐 시장에는 악재가 됐다.
이날 미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해 11월 구인 건수와 미 공급관리자협회(ISM)가 내놓은 작년 12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모두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다.
이는 연준의 올해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크게 낮췄다.
이에 따라 이날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4.699%까지 올랐다.
통상 미 국채 금리 상승은 가상화폐나 주식 등 위험자산에서 자금이 빠져나가는 결과를 낳는다.
가상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크는 "미국의 강한 경제지표가 가상화폐 시장의 밝았던 연초 모멘텀에 찬물을 끼얹었다"고 전했다.
코인데스크는 가상화폐 파생상품 데이터 플랫폼 코인글래스 자료를 인용해 이날 비트코인 가격 급락으로 인해 가격 상승에 베팅한 파생상품 시장 전체에서 거의 3억달러(약 4364억원)에 달하는 매수 포지션이 청산됐다고 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싸구려 취급” 분노에도...전국민 2명 중 1명, ‘지프리 프사’ 이용했다
2‘자산 500조’ 머스크, 세계부자 1위 탈환…韓 1위는?
3北김정은, ‘尹파면’에 특수부대 훈련시찰…“싸움 준비가 최고의 애국”
4애플·엔비디아·테슬라도 무너졌다...서학개미들 ‘곡소리’
5최대 6일 쉬는 ‘5월 황금연휴’ 어디로 갈까…1위 인기 여행지는 ‘이 곳’
6尹파면 선고 끝났지만…오늘 서울 도심서 찬반집회 계속 된다
7디저트 좋아서 시작한 도레도레...250억원대 브랜드가 되다
8‘관세 충격’ 미국 증시 5년 만에 최대 폭락
9尹 '탄핵'되면 오른다더니…코스피 '외국인 투매'에 파랗게 질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