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경기 둔화 대응 추경, 물가 상승 부추길까…한은 “가능성 낮아” 일축

"올해 경제성장률 잠재 수준 하회 예상"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 공동취재단]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한국은행이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편성하더라도 물가 상승 우려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에 따르면 한은은 “경기 둔화에 대응하는 정도의 추경 편성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가능성은 작다고 평가한다”고 밝혔다.

한은은 “추경이 물가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은 지출 형태 및 시기, 경제 상황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며 “물가 안정을 저해하지 않는 수준의 추경 규모를 일률적으로 제시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다만 한은은 “최근 물가가 안정적 흐름을 나타내고 있고 올해 우리 경제 성장률이 잠재 수준을 하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이어 “정부가 농산물 수급 안정, 공공요금 인상 요인 최소화 등 물가 안정 대책을 추진 중인 점도 추경의 인플레이션 자극 효과를 제한하는 요인”이라고 강조했다.

차 의원은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경제 성장률은 1.7%에 그칠 것으로 보이는데, 이를 잠재성장률(2%)만큼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20조원 이상의 추가 재정지출이 필요하고 세수 부족 사태가 반복되지 않도록 세입 경정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국민연금만 ‘月 543만원’ 받는다…‘역대급’ 수령한 부부 비결 봤더니

2“한국은 25%, 기본 10%”…트럼프발 전세계 ‘관세 폭탄’ 터졌다

3파면 이틀째 尹, 관저 퇴거는 언제...아크로비스타 복귀에 ‘관심’

4 "다시 윤석열" 전 국방부장관 김용현, 윤 전 대통령 파면에 옥중서신

5“싸구려 취급” 분노에도...전국민 2명 중 1명, ‘지프리 프사’ 이용했다

6‘자산 500조’ 머스크, 세계부자 1위 탈환…韓 1위는?

7北김정은, ‘尹파면’에 특수부대 훈련시찰…“싸움 준비가 최고의 애국”

8애플·엔비디아·테슬라도 무너졌다...서학개미들 ‘곡소리’

9최대 6일 쉬는 ‘5월 황금연휴’ 어디로 갈까…1위 인기 여행지는 ‘이 곳’

실시간 뉴스

1국민연금만 ‘月 543만원’ 받는다…‘역대급’ 수령한 부부 비결 봤더니

2“한국은 25%, 기본 10%”…트럼프발 전세계 ‘관세 폭탄’ 터졌다

3파면 이틀째 尹, 관저 퇴거는 언제...아크로비스타 복귀에 ‘관심’

4 "다시 윤석열" 전 국방부장관 김용현, 윤 전 대통령 파면에 옥중서신

5“싸구려 취급” 분노에도...전국민 2명 중 1명, ‘지프리 프사’ 이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