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확인 의무' 위반한 업비트, 제재심 설 연휴 지나고 나올 듯
신규고객 가상자산 거래 제한 조치 통보

21일 금융권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금융정보분석원(FIU)은 이날 제재심의위원회를 열어 업비트의 고객확인제도 위반 등 자금세탁방지 의무 불이행 혐의를 심의한다.
다만 이날 제재심에서는 제재를 최종 결정하지 않고, 업비트의 소명을 근거로 제재 수위를 논의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제재 결과는 설 연휴가 지나고 다음 달 이후에 나올 것으로 보인다.
FIU는 지난해 8월 말부터 업비트가 제출한 사업자면허 갱신 신고 신청과 관련해 현장검사를 한 결과, 고객확인제도 위반 등 자금세탁방지 의무 불이행 혐의 사례를 수십만건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기관은 자금세탁 방지를 위해 거래 고객의 신분증으로 신원정보를 확인해야 하는데, 업비트는 이 과정을 부실하게 처리한 것으로 파악됐다.
업비트는 또 미신고 사업자와의 거래제한 조치 의무도 위반한 것으로 전해졌다.
FIU는 업비트에 일정 기간 신규고객이 가상자산을 전송하는 것을 제한하는 내용의 조치를 미리 통지했다.
이와 함께 과태료 부과, 임직원 중징계 등 제재도 부과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코인마켓거래소 한빗코는 고객확인제도 위반 등 이유로 과태료 19억9420만원 처분을 받았으나 작년 12월 법원에서 취소 판결을 받았다.
일각에서는 최고경영자(CEO) 징계가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FIU 관계자는 "임직원 제재, 과태료 등 사유에 해당하면 제재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업비트 제재 결과가 미칠 파장에 주목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한빗코의 고객확인제도 위반 건수는 100~200건 수준이었지만, 업비트 위반 건수는 훨씬 많다"며 "임직원 징계나 과태료 수준에 의해 고객들이 이탈할 가능성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유안타증권캄보디아, 현지 첫 녹색채권 상장 주관
2규제에 막힌 유전자 변형 농작물…돈도 기술도 美로 간다
3갈변 없는 美 감자 수입할까…유전자 변형 농산물 허가 여부에 ‘시끌’
48100억원 지원받은 GM의 철수설…다시 한번 정부 지원 바라나
5장중 90% 폭락, 만트라 토큰...“루나·테라 이후 최악의 폭락”
620대 후반 취업자, 12년 만에 최대 감소…'청년 고용 한파' 심화
7 차기 대선 적합도, 한덕수 8.6%...이재명 48.8%-김문수 10.9%
8두나무, 9월 9일 ‘업비트 D 컨퍼런스’ 개최
9트럼프 "전자기기 관세 면제 아냐"…관세 유예 논란 일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