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20대 후반 취업자, 12년 만에 최대 감소…'청년 고용 한파' 심화

경력직 선호·제조업 부진 원인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구직자들이 취업 공고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올해 1분기 20대 후반 취업자 수가 2013년 3분기 이후 약 12년 만에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기록했다.

제조업·건설업 중심 고용 한파가 장기화하고, 기업들의 경력직 채용 선호 현상이 뚜렷해진 데 따른 현상으로 풀이된다.

1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분기 20대 후반(25∼29세) 취업자 수는 242만명으로, 1년 전보다 9만8000명 줄었다.

이는 2013년 3분기(-10만3000명) 이래 가장 큰 폭 감소다. 코로나19 사태 영향으로 고용 시장이 얼어붙었던 2020년보다도 취업자가 더 많이 줄었다.

20대 후반 취업자는 2023년 1분기 이후 9분기 연속으로 전년 동기대비 감소하고 있다.

감소 폭 역시 작년 3분기 4만4000명, 작년 4분기 6만2000명에 이어 올해 1분기까지 3분기 연속으로 확대됐다.

20대 후반 취업자 감소는 인구 감소 추세를 고려해도 급격한 편이다.

올해 1분기 20대 후반 인구는 6만9000명 감소했다. 같은 기간 취업자와 실업자를 포괄하는 경제활동인구는 8만5000명 감소했고, 경제활동참가율도 1.0%p 줄었다.

20대 후반 실업자는 1만3000명, 실업률은 0.6%p 각각 증가했다. 실업자와 실업률 증가 폭도 전분기보다 확대됐다.

인구가 줄어든 정도 이상으로 취업자와 경제활동인구가 감소하고, 실업자와 실업률은 증가한 것이다.

일할 곳을 찾지 못한 청년들이 고용 시장에서 밀려나는 경향도 뚜렷해지고 있다.

20대 후반에서 취업자도, 구직자도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는 1분기 1만6000명 증가했다. 이 연령대 청년층의 비경제활동인구가 증가한 것은 2021년 1분기 이후 4년 만에 처음이다.

특히 이중에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은 '쉬었음' 인구는 1만8000명가량 늘어나면서 4개 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20대 후반 고용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는 '양질의 일자리'로 꼽히는 제조업, 건설업 취업자 감소가 꼽힌다.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는 작년 동월보다 11만2000명 줄며 2020년 11월(-11만3000명) 이후 4년4개월 만에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다. 9개월 연속 감소세다.

건설업 취업자도 작년 동월보다 18만5000명 급감하면서 2013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로 최대 감소 폭을 나타냈다. 11개월 연속 '마이너스' 흐름도 이어졌다.

기업들이 신규 채용보다 경력직 채용을 선호하는 현상도 청년층의 취업 어려움을 가중하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기재부 관계자는 "인구 구조적인 문제와 불어 기업들의 경력직 선호 현상이 심화하면서 20대 후반 청년들이 비경제활동인구에 머물거나 취업시장에 진입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청년들이 적성에 맞는 적합한 일자리를 찾아 20대에 첫 직장에 입직할 수 있는 인센티브 구조를 마련하는 게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폐업 소상공인 취업 위해 중기부·고용부 손잡는다

2"우리도 AI 수출국?"... KT, 국내 최초로 LLM 플랫폼 수출했다

3'다 바꾸겠다'는 더본코리아...백종원 대표 직속 '리스크 관리 조직' 신설

4또 터진 금융사고…하나은행 350억원 부동산 대출사기 발생

5중국 보잉 737맥스 인수 중단…美 항공기 사실상 수입봉쇄

6지난해 여성 오너 배당금 1위는 이부진, 1483억여원 수령

7넓어지는 ‘수소 생태계’...현대차그룹, 인니서 폐기물 활용 ‘청정 수소’ 생산

8“매출 5조 달성 목표”...오리온, 8300억 투자해 글로벌 생산량 확대

9남영역 청년안심주택 청약 경쟁률 91.대1 기록

실시간 뉴스

1폐업 소상공인 취업 위해 중기부·고용부 손잡는다

2"우리도 AI 수출국?"... KT, 국내 최초로 LLM 플랫폼 수출했다

3'다 바꾸겠다'는 더본코리아...백종원 대표 직속 '리스크 관리 조직' 신설

4또 터진 금융사고…하나은행 350억원 부동산 대출사기 발생

5중국 보잉 737맥스 인수 중단…美 항공기 사실상 수입봉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