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명절, 사위가 듣기 부담스러워하는 말 “자고 가라”
며느리는 ‘한 끼 더 먹고 가라’가 가장 부담

29일 재혼전문 결혼정보회사 온리-유와 결혼정보업체 비에나래가 공동으로 지난 20∼26일 전국의 (황혼)재혼 희망 돌싱남녀 총 556명(남녀 각 2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설문조사는 ‘전 배우자와 결혼생활 중 설 연휴 때 처(시)가에 가면 어떤 말이 나올까봐 전전긍긍 했습니까?’라는 질문 등으로 이뤄졌다.
해당 질문에 남성은 32.4%가 ‘자고 가라’를 지목했다. 이어 ▲형제 가족(처남 혹은 처형·처제 및 그 가족) 오면 보고 가라(27.7%) ▲한 끼 더 먹고 가라(24.1%) ▲'음식 좀 가져가라(15.8%) 등의 순으로 대답했다.
여성은 가장 많은 31.3%가 ‘한 끼 더 먹고 가라’로 답했다. 이어 ▲음식 좀 가져가라(28.4%) ▲형제 가족(시아주버니·시동생 혹은 시누이 및 그 가족) 오면 보고 가라(23.0%) ▲자고 가라(17.3%) 등이 뒤를 이었다.
손동규 온리-유 대표는 “요즘 시가에서는 며느리 눈치를 보는 경향이 있어서 자고 가라는 등의 요청을 하지 않는 편이지만, 처가에서는 딸과 조금이라도 더 많은 시간을 보내기 위해 자고 가라는 사례가 적지 않다”며 “시가 체류를 불편하게 생각하는 여성은 한시라도 빨리 시가를 벗어나고 싶어 해 점심(혹은 저녁)을 먹고 가라는 등의 제의가 있을까 조바심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다음으로 ‘이혼하기 전 설 연휴때 처(시)가에 간다는 생각만 해도 머리가 지끈지끈 아프게 했던 요인이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에 남자는 ‘세면, 용변, 잠자리 등 불편한 생활환경’을 가장 많이 지목했다. 여자는 ‘우호적이지 않은 분위기’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혼 전 결혼생활을 할 때 설과 관련해 어떤 기사를 보면 스트레스가 가중됐습니까?’라는 질문에서 남성은 33.8%가 ‘소요 비용’(차례 준비·용돈·세뱃돈 등)을 답했다 이어 ▲도로 상황(28.1%) ▲해외여행(23.0%) ▲비현실적 설 풍경(15.1%) 등의 순이었다.
여성은 35.6%가 ‘해외여행’을 지목했다. 이어 ▲비현실적 설 풍경(26.6%) ▲소요 비용(24.5%) ▲도로상황(13.3%) 등이 뒤를 이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트럼프 "큰 진전"…美·日 무역협상 전격 개시
2“韓 스타트업, 해외 투자 유치 위해선 ‘단일성’ 버려라”
3유사나헬스사이언스, 셀라비브 리서페이싱 앰플 세럼 임상 연구 결과 발표 …2주 만에 피부 개선 효과 입증
4구다이글로벌,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닥터나인틴’ 론칭
5이스라엘산 프리미엄 대추야자 브랜드 ‘킹 솔로몬’…가정의 달 맞이 기획 상품 선보여
6뉴욕증시, 급락…트럼프發 대중 반도체 규제 직격탄 영향
7한덕수 29.5%,김문수 21.5%,한동훈 14.1%...보수 대선 후보 적합도 조사
8뉴욕유가 2% 상승…中·美 대신 캐나다산 원유 수입 확대
9 트럼프, 일본 협상단 만나..."협상에 큰 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