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내 월급만 안 오르네"...소비자 물가, 2년 연속 껑충

근로 소득 상승, 2년 연속 물가 상승률 밑돌아

소비자 물가가 2년 연속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라예진 기자] 근로 소득과 물가의 상승률 격차는 금융위기 이후 최대 폭의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임광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연도별 근로소득 천분위 자료에 따르면 최근 집계된 2023년(귀속연도) 1인당 평균 근로소득(총급여 기준)은 4332만원이었다.
 
이는 4213만원이었던 1년 전과 비교하면 2.8% 증가했다. 2020년(2.3%)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근로소득 증가율은 2021년 5.1%까지 확대됐다가 2022년(4.7%)에 이어 2023년까지 2년 연속 둔화했다.

반면 2023년 소비자 물가는 1년 전보다 3.6% 상승했다. 2022년 5.1%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데 이어 2년 연속 큰 폭으로 올랐다. 물가보다 월급이 적게 오르면서 근로소득과 소비자물가 간의 상승률 차이는 -0.8%포인트(p)를 기록했다. 2022년(-0.4%p)에 이어 2년 연속 마이너스다.

근로소득 상승률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밑돈 것은 2009년(-2.0%) 이후 2022년이 처음이고, 이후 차이가 더 커졌다.

2023년 근로소득자의 전체 세 부담은 전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국회와 정부는 서민·중산층 세 부담 완화를 위해 5천만원 이하 하위 2개 구간의 과세표준을 상향 조정하는 등 세법을 개정했다.

이에 따라 2023년 1인당 평균 결정세액은 428만원으로 전년 대비 6만원(-1.4%) 감소했다.

다만 세 부담 완화 효과는 중·하위 소득자보다는 최상위 소득자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소득자 중 최상위 0.1% 구간 2만852명의 1인당 평균 근로소득은 9억6004만이었다. 이 구간 1인당 평균 결정세액은 3억3290만원으로 전년 대비 1836만원 감소(-5.2%)했다.

반면, 중위 50% 소득 구간 인원 20만8523명의 1인당 평균 근로소득은 3302만원이었다. 이 구간 소득자들의 1인당 평균 결정세액은 29만2054만원으로 전년 대비 0.9% 증가했다.

임광현 의원은 "2000만 근로소득자의 소득 증가세가 약해지고 물가를 고려한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소득의 마이너스 폭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근로소득자의 소득향상을 지원하는 조세·재정정책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국회 벚꽃, 올해는 멀리서...“봄꽃 축제 기간 외부인 출입 제한”

2 민주 "민간인 尹·김건희 신속 수사를…국헌문란 증명돼"

3국민신문고에 쏟아지는 분노…불만 3대장은 ‘이동통신·상품권·항공’

4 산불때 주민 대피 도운 인니 국적 3명에 '장기체류 자격' 부여

5직장인 70% “尹 탄핵 촉구 집회, 민주주의에 긍정적”

6 차기는 이재명 54.5%...尹파면 잘한 일 65.7%

7尹 탄핵 인용 뒤 ‘쾅’…경찰버스 파손 남성 ‘구속 기로’

814년 ‘전기차 집념’ 현대차·기아…누적 50만대 판매 돌파

9홍준표 “25번째 이사, 마지막 꿈 위해 상경”

실시간 뉴스

1국회 벚꽃, 올해는 멀리서...“봄꽃 축제 기간 외부인 출입 제한”

2 민주 "민간인 尹·김건희 신속 수사를…국헌문란 증명돼"

3국민신문고에 쏟아지는 분노…불만 3대장은 ‘이동통신·상품권·항공’

4 산불때 주민 대피 도운 인니 국적 3명에 '장기체류 자격' 부여

5직장인 70% “尹 탄핵 촉구 집회, 민주주의에 긍정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