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트럼프 25% 관세 부과에, 캐나다 적극 대응 천명

트럼프 “펜타닐 위협에서 국민 보호해야”…캐나다 관세 부과 이유 밝혀
프릴랜드 전 캐나다 총리 “테슬라에 100% 관세 부과해야” 주장도

행정명령에 서명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 AFP/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최영진 기자]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캐나다 정부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1일(현지시간) 통보했다. 이번 조치는 4일부터 시행될 것이라고 뉴욕타임스(NYT) 등이 보도했다.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각국의 대응이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캐나다 정부는 적극 대응을 천명하고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일 캐나다·멕시코·중국에 관세를 부과한다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자신이 만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이는 불법 이민자와 펜타닐을 포함한 치명적 마약이 우리 시민에게 중대한 위협이 되고 있기 때문에 국제경제비상권한법(IEEPA)을 통해 이뤄졌다”고 밝혔다. 또한 “우리는 미국인을 보호해야 하며, 모든 미국인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 대통령으로서 나의 임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 남부 국경과 캐나다 북부 국경을 통해 펜타닐이 대거 유입되고 있다고 주장해 왔다. 

트럼프의 관세 부과 행정명령에 캐나다의 주지사들이 적극 대응을 천명하고 나섰다. 트뤼도 캐나다 총리의 사임 발표로 주지사들이 나서고 있다. 더그 포드 온타리오주 주지사는 소셜미디어 엑스(옛 트위터)에 “이제 캐나다는 강하게 반격할 수밖에 없다”는 글을 게시했다. 다니엘 스미스 앨버타주 주지사도 페이스북을 통해 “이 결정은 캐나다인과 미국인 모두에게 피해를 줄 것이다”면서 “우리의 정치 및 무역 관계를 전 세계로 확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캐나다 상공회의소도 성명을 통해 "관세는 모든 캐나다와 미국인들의 삶에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모든 비용이 급격하게 증가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우리의 교역 파트너를 다양화하고 내부의 불필요한 장벽을 없애 상품과 서비스가 북쪽으로, 동서로 퍼지게 하자"고 주장했다. 

캐나다의 차기 총리 후보인 크리스티아 프릴랜드 전 캐나다 부총리는 트럼프 관세에 대해 테슬라에 100%의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프릴랜드 전 총리는 1월 31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의 가장 가까운 지지자들에게 캐나다를 공격하면 캐나다도 반격할 것이고, 상처를 줄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테슬라 외에도 미국산 와인, 맥주, 증류주에도 100%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애플·엔비디아·테슬라도 무너졌다...서학개미들 ‘곡소리’

2최대 6일 쉬는 ‘5월 황금연휴’ 어디로 갈까…1위 인기 여행지는 ‘이 곳’

3尹파면 선고 끝났지만…오늘 서울 도심서 찬반집회 계속 된다

4디저트 좋아서 시작한 도레도레...250억원대 브랜드가 되다

5‘관세 충격’ 미국 증시 5년 만에 최대 폭락

6尹 '탄핵'되면 오른다더니…코스피 '외국인 투매'에 파랗게 질렸다

7안전자산 ’금‘도 팔았다…글로벌 증시 패닉셀에 금값 ‘뚝’

8"소맥 대신 위스키 먹자"...주류업계, 니치 마켓 집중 공략

9'진로와 새로, 이제 우리도 효자'...주류업체 메인 넘보는 서브 브랜드의 반란

실시간 뉴스

1애플·엔비디아·테슬라도 무너졌다...서학개미들 ‘곡소리’

2최대 6일 쉬는 ‘5월 황금연휴’ 어디로 갈까…1위 인기 여행지는 ‘이 곳’

3尹파면 선고 끝났지만…오늘 서울 도심서 찬반집회 계속 된다

4디저트 좋아서 시작한 도레도레...250억원대 브랜드가 되다

5‘관세 충격’ 미국 증시 5년 만에 최대 폭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