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금지령 내렸다"…정부부처 및 기업도 차단 확산
"정보 유출 및 보안 우려"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경제 사령탑인 기획재정부도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 접속을 차단하기로 하면서 정부부처 전반으로 '딥시크 금지령'이 확산하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6일 "딥시크와 관련한 대내외의 기술적 우려가 다수 제기되고 있어 외부 접속이 가능한 PC에 딥시크 접속을 차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딥시크 접속 제한 조치는 범정부 차원으로 이뤄지고 있다.
외교부·국방부·산업통상자원부 등 부처는 전날부터 딥시크 이용 제한을 시작했다. 이는 생성형 AI 사용 과정에서 민감한 업무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4일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딥시크와 챗GPT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 달라고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공문에는 생성형 AI에 개인정보 입력을 자제하고, 생성형 AI가 내놓은 결과물을 무조건 신뢰하지 않아야 한다는 취지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권도 딥시크 차단에 동참하는 기류다.
국책은행인 수출입은행은 지난달 31일부터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수출입은행 관계자는 "내부망과 외부망을 따로 운영하고 있다"며 "개인정보 유출이나 사이버보안에 우려가 있는 경우 자체적으로 차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KB금융지주와 KB국민은행은 지난 3일부터 안전성 검증을 이유로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챗GPT 등 다른 생성형 AI는 사용할 수 있지만, 딥시크 앱 다운로드나 사이트 접속은 막은 상태다.
인터넷은행인 토스뱅크도 데이터 수집·학습 관련 보안성 검토가 완료될 때까지 딥시크 서비스를 차단 중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재부 관계자는 6일 "딥시크와 관련한 대내외의 기술적 우려가 다수 제기되고 있어 외부 접속이 가능한 PC에 딥시크 접속을 차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딥시크 접속 제한 조치는 범정부 차원으로 이뤄지고 있다.
외교부·국방부·산업통상자원부 등 부처는 전날부터 딥시크 이용 제한을 시작했다. 이는 생성형 AI 사용 과정에서 민감한 업무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4일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딥시크와 챗GPT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 달라고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공문에는 생성형 AI에 개인정보 입력을 자제하고, 생성형 AI가 내놓은 결과물을 무조건 신뢰하지 않아야 한다는 취지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권도 딥시크 차단에 동참하는 기류다.
국책은행인 수출입은행은 지난달 31일부터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수출입은행 관계자는 "내부망과 외부망을 따로 운영하고 있다"며 "개인정보 유출이나 사이버보안에 우려가 있는 경우 자체적으로 차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KB금융지주와 KB국민은행은 지난 3일부터 안전성 검증을 이유로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챗GPT 등 다른 생성형 AI는 사용할 수 있지만, 딥시크 앱 다운로드나 사이트 접속은 막은 상태다.
인터넷은행인 토스뱅크도 데이터 수집·학습 관련 보안성 검토가 완료될 때까지 딥시크 서비스를 차단 중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남양유업 백미당, '프리미엄 원두' 도입...커피맛 차별화
2SJ그룹 에코골프어패럴, ‘TEAM ECCO’ 골프단 창단...프로선수 후원 본격화
3바디프랜드, ‘사용자 기립 보조’ 신기술 특허 획득
4서희원 1200억 원 유산 향방은.. "대만서 혼인신고" 구준엽 발언 눈길
5"더이상 사고는 없어야"…국적기 항공사 정비규정 위반 4건 적발
6"딥시크 금지령 내렸다"…정부부처 및 기업도 차단 확산
7“최우선 가치는 신뢰”...테무, 글로벌 시험 인증 기관과 협력
8글로벌 HR서비스 딜(Deel), 설립 6년만에 매출 8억달러 돌파
9비건 매트리스 N32, 웨딩 프로모션으로 신혼부부 사로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