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온라인 정기결제 요금 인상, 30일 전 소비자 동의 받아야"

반복 적발시 최대 1년 영업정지 받을 수 있어

공정거래위원회 전경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오는 14일부터 정기결제 대금을 인상하는 전자상거래 사업자는 반드시 인상 30일 전에 소비자 동의를 받아야 한다.

동의 없이 슬쩍 대금을 인상하는 다크패턴(눈속임 상술)을 반복하는 사업자는 최대 1년 동안 영업정지에 처할 수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런 내용을 담은 전자상거래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을 14일부터 시행한다고 10일 밝혔다.

개정안은 지난해 2월 다크패턴 규제를 골자로 개정된 전자상거래법이 위임한 세부 사항 등을 담았다.

개정안은 정기결제 대금이 증액되거나 무료에서 유료 정기결제로 전환될 때 30일 이내에 소비자의 동의를 받도록 했다. 동의를 취소하기 위한 조건·방법 등도 소비자에게 고지돼야 한다.

아울러 소비자가 7일 이상 선택·결정한 내용의 변경을 다시 요구받지 않도록 선택한 경우 팝업창 등을 통한 '반복 간섭'을 받지 않도록 했다.

개정 전자상거래법은 사이버몰에서 가격을 표시·광고할 때 첫 화면에서 일부 금액만 알리는 행위(순차공개 가격책정 유형)를 금지하도록 했다.

다만 정당한 사유가 있으면 이를 적용받지 않는데, 시행규칙은 이 정당한 사유를 첫 화면에 알린 경우로 구체화했다. 공간의 제약이 있다면 그 사유를 알 수 있는 링크 등으로 고지하도록 했다.

시행령은 다크패턴 관련 위반 횟수에 따른 영업정지와 과태료 기준도 담았다.

영업정지는 3년 내 적발 횟수 기준으로 1차 3개월, 2차 6개월, 3차 12개월이다. 과태료는 1차 100만원, 2차 200만원. 3차 500만원이다.

공정위는 "하위 법령 개정에 따라 다크패턴 규제가 구체화되고 명확해짐에 따라 온라인 눈속임 상술로부터 소비자가 보호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새로운 제도가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2월 초에 문답서를 배포하고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챗GPT 개발한 '오픈AI'...4개월만 몸값 2배 올라

2시프트업, 지난해 영업익 1486억원…전년 대비 33.8%↑

3"김치 원산지는 중국" 딥시크 충격 발언…언어별 답변 달랐다?

4솔루엠, 스페인 ‘ISE 2025’서 AI 기반 첨단기술 공개

5이지스자산운용, '마곡 랜드마크' 원그로브 본격 운용

6대구 북구, 오겜 패러디해 '정월대보름 축제' 홍보

7호텔서 트럼프 취임식 본 홍준표, "국익 해칠 우려 있다"며 출장내역 비공개

8영주시, 12일 '2025 정월대보름 행사' 개최

9‘푸른 고래’ 딥시크, 영어보다 한국어 공격에 18% 더 취약…보안성 ‘심각’

실시간 뉴스

1챗GPT 개발한 '오픈AI'...4개월만 몸값 2배 올라

2시프트업, 지난해 영업익 1486억원…전년 대비 33.8%↑

3"김치 원산지는 중국" 딥시크 충격 발언…언어별 답변 달랐다?

4솔루엠, 스페인 ‘ISE 2025’서 AI 기반 첨단기술 공개

5이지스자산운용, '마곡 랜드마크' 원그로브 본격 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