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서울 평균 분양가 4800만원 시대…가장 저렴한 ‘이곳’은?

지난해 서울 '평당 2천만원대' 분양 2곳뿐

 서울 시내의 한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지수 기자] 서울 아파트 분양가가 매년 치솟는 가운데 지난해 평당(3.3㎡) 2000만원대로 민간 분양이 이뤄진 자치구는 2곳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부동산R114 자료를 토대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민간 아파트가 공급된 서울 19개 자치구 중 평균 분양가가 2000만원대인 곳은 금천구(2797만원)와 구로구(2881만원) 2곳뿐이었다. 

지난 2021년에는 관악, 양천, 성북, 강동 등 모두 8곳에서, 2022년에는 강서, 중랑, 영등포 등 5곳에서, 2023년에는 구로, 은평, 도봉에서 2000만원대 민간 분양 아파트를 찾을 수 있었다.

반면 평당 4천만원 이상으로 분양가가 책정된 자치구는 지난해 '강남3구'(강남·서초·송파), 강서, 마포, 강동, 영등포 등 모두 10곳으로 집계됐다. 전년에 양천, 용산, 마포, 광진, 동작 5개 구가 이에 해당했던 것과 비교하면 100% 늘었다.

특히 지난해에는 분양가가 5000만원 이상인 곳도 7곳으로 집계됐다. 이 중 광진구가 1억846만원으로 가장 높았는데, 지난해 1월 1억3770만원에 공급된 '포제스 한강'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이 아파트는 당시 역대 최고 분양가로 공급됐음에도 평균 경쟁률이 6대1을 나타냈다. 이 중 '국민 평형'이라 불리는 84㎡ 타입의 평균 경쟁률이 25.35대 1에 달할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이어 강남(6935만원), 서초(6657만원), 송파(5459만원), 성동(5271만원), 마포(5249만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서울 전체 평균 분양가는 4820만원으로 전년(3천508만원) 37.4% 올랐다. 집값이 고점이던 2021년(2799만원)과 비교하면 72.2% 상승한 수치다.

서울의 분양가는 지난해 매매가(4300만원)를 520만원 상회하며 2018년 이후 6년 만에 시세를 추월했다.

올해의 경우 현재까지 민간 분양은 이달 초 서초구에 공급된 '래미안 원페를라'(6941만원) 1곳이 유일한 가운데 평균 분양가 6000만원대로 스타트를 끊게 됐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지난 5년간 건설공사비지수가 약 30% 이상 올랐고, 환율 불안과 관세 부과 등의 이유로 건설원가는 더욱 오를 전망"이라면서 "최근 이어지고 있는 분양가 상승세는 더욱 가파르게 진행될 여지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대기업 한화 들어온다”...식자재 유통 시장, 미국처럼 될까

2파월 “美 경제 강하다...금리 인하 서두를 필요 없어”

3대구 1·2호선 반월당역 출구역세권 ‘반월당역 반도유보라’ 3월 오픈

4김철주 생보협회장 “생보업계 위기 일상화…본업 경쟁력 강화해야”

5수속기간 대폭 단축한 미국투자이민 ‘APN II 프로젝트’… 이민법인 대양 22일 세미나 연다

6 잠실·삼성·대치·청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재건축 제외

7서울 평균 분양가 4800만원 시대…가장 저렴한 ‘이곳’은?

8GS건설, LX하우시스와 아파트 층간소음 저감 기술 개발MOU 체결

9부동산 반등 조짐?...주담대 전월比 1조7000억 늘었다

실시간 뉴스

1“대기업 한화 들어온다”...식자재 유통 시장, 미국처럼 될까

2파월 “美 경제 강하다...금리 인하 서두를 필요 없어”

3대구 1·2호선 반월당역 출구역세권 ‘반월당역 반도유보라’ 3월 오픈

4김철주 생보협회장 “생보업계 위기 일상화…본업 경쟁력 강화해야”

5수속기간 대폭 단축한 미국투자이민 ‘APN II 프로젝트’… 이민법인 대양 22일 세미나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