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롯데월드타워 고층은 5G 신호 약해"…저층 대비 약 20dBm 차이

저층의 RSRP는 -71.14dBm, 고층은 -92.54dBm

롯데월드타워 전경 [사진 롯데물산 제공]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의 5G 신호 강도가 높은 층으로 올라갈수록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통신 속도 측정 사이트 '스피드테스트' 운영사 우클라(Ookla)가 세계 주요 고층 빌딩의 저층과 고층 사이 5G 신호 강도를 분석한 결과, 롯데월드타워 저층에서의 RSRP는 -71.14dBm, 고층에서의 RSRP는 -92.54dBm으로 약 20dBm가량 차이가 났다.

RSRP는 스마트폰에서 수신한 네트워크 신호 강도를 의미하는데, 일반적으로 RSRP가 -90dBm을 초과하면 강도가 높고, -90dBm에서 -100dBm 사이면 강도가 양호하다고 평가받는다.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부르즈 칼리파'와 뉴욕의 '원 월드 트레이드 센터',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대만 '타이베이 101'은 저층과 고층 사이 RSRP 차이가 3dBm 이하였다.

우클라는 이들 빌딩에 전망대가 있어 강력한 5G 커버리지가 필수적이라며, 저층과 고층 사이 RSRP 차이가 큰 이유는 실내 5G 커버리지 설루션이 부족하고 대부분의 5G 신호가 실외 기지국에서 오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층수 상관없이 실내 5G 신호 강도를 따졌을 때는 중국 상하이 타워가 건물 내부에서 감지된 샘플의 가중 평균 RSRP -71.04dBm으로, 조사 대상 건물 중 5G 신호가 가장 강력했다.

5G 신호가 가장 약한 건물은 런던의 '더 샤드'였다. 이 건물의 평균 RSRP는 -96.69dBm으로, 건물에 설치된 많은 유리가 모바일 신호를 반사하고 흡수해 성능 저하가 발생했을 수 있다고 우클라는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맨 평균 연봉, 얼마일까?"...지난해 7% 올라 ‘억 소리’

2데이원컴퍼니‧아이지넷 주가 하락 지속…환매청구권 부담 커지나

3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 신임 협회장 추대

4“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

5트럼프의 ‘심야 트윗’에 잠 못 드는 미국·유럽 투자자들, 왜?

6재무상담 원하는 MZ 세대 주목…예산 5억원 투입

7“삼겹살이 890원?”...오픈 직후 사람들 몰렸다

8에어비앤비 공동 창업자, LA 산불 피해 주민에 조립식 주택 기부

9현대차 제일 잘 파는 사람, ‘대전’에 있었다

실시간 뉴스

1"삼성맨 평균 연봉, 얼마일까?"...지난해 7% 올라 ‘억 소리’

2데이원컴퍼니‧아이지넷 주가 하락 지속…환매청구권 부담 커지나

3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 신임 협회장 추대

4“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

5트럼프의 ‘심야 트윗’에 잠 못 드는 미국·유럽 투자자들,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