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딱히 관심 없는데요?” 우리나라 초중고 학생, 경제이해력 줄었다

중고생 점수 51점대, 2년 전보다 줄어

경제 일러스트.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지수 기자] 초·중·고등학생 경제 이해력 조사에서 중·고등학생의 점수가 50점대 초반으로, 가장 최근인 2년 전 조사 때보다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19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4년 초·중·고 학생 경제이해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제이해력 평균 점수는 초등학교 6학년 61.5점, 중학교 3학년 51.9점, 고등학교 2학년 51.7점으로 각각 집계됐다. 직전 조사인 2022년과 비교해 모두 점수가 하락했는데, 초등학생은 3.9점, 중학생은 6.3점, 고등학생은 5.0점 떨어졌다.

설문조사 도구에 따른 응답 성실도 차이와 학업 성취도 저하로 점수가 하락했다고 정부는 분석했다. 2022년에는 종이 설문이었으나 지난해는 태블릿이 부분적으로 도입됐다.

기재부는 "초등학생은 60점을 조금 웃돌았으나 중·고등학생의 경우 60점에 현저히 미달해 학생들의 경제 이해력 제고를 위한 경제교육 강화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지역별로는 서울·대구·세종 등 특별시와 광역시의 평균 점수가 광역도보다 대체로 높았다.

문항별로는 합리적 선택, 전자상거래, 투자 등 실생활 관련 문항의 정답률은 높고, 물가나 수요·공급, 기회비용 등 경제 기본개념·원리 관련 정답률은 낮게 나타났다.

중학생 기준 정답률은 합리적 선택(69.5%)이 가장 높았고 전자상거래(68.7%), 투자(67.3%), 지불수단(66.2%) 순이었다. 물가, 수요·공급은 40%대였으며 기회비용과 가격, 수요량은 30%대였다.

또 경제교육 실태조사에서 초·중학생은 주로 학교 수업을 통해 경제 지식을 취득하고 고등학생은 주로 TV·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중·고등학생 모두 강의식 교육보다 체험활동, 현장 견학 등 체험형 교육을 선호했고 교육 주제로는 경제 기본원리와 금융 상품 수요가 높았다.

교사의 경우 경제 수업 진행 시 어려움을 느낀 비율이 60∼70%에 달했다. 주된 원인으로 자료수집과 교수법의 어려움, 경제 이해도 부족 등을 꼽았다. 교사들의 경제 관련 직무연수 경험은 매우 낮게 조사됐다.

이에 기재부는 학생들의 경제 이해력을 높이고 교육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는 늘봄학교를 통해 올해 1만명을 목표로 경제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중등 자유학기제 경제활동과 고등학교 신규 경제 과목도 확대·개설할 계획이다.

교사 양성, 경제교육 플랫폼 강화 등 경제교육 기반도 강화한다. 기재부 관계자는 "원격 연수 프로그램을 새롭게 개발하고 우수 수업 사례 대면 연수 제공을 통해 교사들의 직무연수 기회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갤럽에서 초등학교 6학년 5192명, 중학교 3학년 5157명, 고등학교 2학년 5105명과 초·중·고 교사 75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8∼10월 이뤄졌다. 2020년부터 2년마다 실시된 조사는 지난해부터 국가승인통계로 지정됐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애플·엔비디아·테슬라도 무너졌다...서학개미들 ‘곡소리’

2최대 6일 쉬는 ‘5월 황금연휴’ 어디로 갈까…1위 인기 여행지는 ‘이 곳’

3尹파면 선고 끝났지만…오늘 서울 도심서 찬반집회 계속 된다

4디저트 좋아서 시작한 도레도레...250억원대 브랜드가 되다

5‘관세 충격’ 미국 증시 5년 만에 최대 폭락

6尹 '탄핵'되면 오른다더니…코스피 '외국인 투매'에 파랗게 질렸다

7안전자산 ‘금’도 팔았다…글로벌 증시 패닉셀에 금값 ‘뚝’

8"소맥 대신 위스키 먹자"...주류업계, 니치 마켓 집중 공략

9'진로와 새로, 이제 우리도 효자'...주류업체 메인 넘보는 서브 브랜드의 반란

실시간 뉴스

1애플·엔비디아·테슬라도 무너졌다...서학개미들 ‘곡소리’

2최대 6일 쉬는 ‘5월 황금연휴’ 어디로 갈까…1위 인기 여행지는 ‘이 곳’

3尹파면 선고 끝났지만…오늘 서울 도심서 찬반집회 계속 된다

4디저트 좋아서 시작한 도레도레...250억원대 브랜드가 되다

5‘관세 충격’ 미국 증시 5년 만에 최대 폭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