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축 프리미엄 커지나”...내년 수도권 아파트 입주 7만 가구 이하로 ‘뚝’
10년 만에 10만 가구 아래로…서울, 올해 4분의 1 수준
인허가 물량 증가로 2027년 이후 반등 전망

25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6년도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은 6만9642가구로 올해(11만3465가구) 대비 40% 가까이 줄어든다.
수도권 입주 물량이 10만 가구 밑으로 내려간 것은 2015년(9만2640가구) 이후 10년 만이다.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10년간 수도권의 연평균 입주 물량은 14만4977가구 규모다.
서울은 올해 입주 물량이 3만1300가구로 예상되나 내년에는 4분의 1 수준인 7768가구로 급감할 전망이다.
또한 같은 기간 경기도는 6만1838가구에서 4만935가구로 축소되고, 인천은 2만327가구에서 1만2839가구로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2027년 이후에는 입주 물량이 반등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통상 인허가 물량은 3~4년의 시차를 두고 입주 물량에 영향을 미치는데, 수도권 인허가 물량은 2023년 18만2266가구, 2024년 21만2776가구로 늘어나는 추세다.
내년도 수도권 입주 물량 감소를 예상하는 가장 큰 이유도 2022년 인허가 물량(14만415가구)이 평균을 하회했기 때문이다.
입주 물량이 감소하면서 신축 아파트의 희소성도 더욱 크게 부각 될 전망이다. 분양업계 관계자는 “향후 2~3년간 입주 물량의 급감하는 가운데 공사비 인상과 조합과 시공사의 갈등 등으로 신축 아파트 공급이 예정보다 늦어질 위험 등이 더해지며 신축 프리미엄이 더욱 치솟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尹 탄핵 인용 뒤 ‘쾅’…경찰버스 파손 남성 ‘구속 기로’
214년 ‘전기차 집념’ 현대차·기아…누적 50만대 판매 돌파
3홍준표 “25번째 이사, 마지막 꿈 위해 상경”
4화해, 전 세계 피부에 닿는다…K-뷰티 플랫폼의 글로벌 야망
5상호관세, '이곳'만 면제 혜택?…트럼프에 거액 약속도
6“식후 커피는 디카페인으로”...스타벅스, 1+1 행사 진행
7티아라 효민, 품절녀 대열 합류…♥남편 정체는
8인천공항 제2터미널서 ‘실탄 4발’ 발견...경찰 수사 착수
9보아, 술 마시며 방송하다 스킨십…상대 남성 정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