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축 프리미엄 커지나”...내년 수도권 아파트 입주 7만 가구 이하로 ‘뚝’
10년 만에 10만 가구 아래로…서울, 올해 4분의 1 수준
인허가 물량 증가로 2027년 이후 반등 전망

25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6년도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은 6만9642가구로 올해(11만3465가구) 대비 40% 가까이 줄어든다.
수도권 입주 물량이 10만 가구 밑으로 내려간 것은 2015년(9만2640가구) 이후 10년 만이다.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10년간 수도권의 연평균 입주 물량은 14만4977가구 규모다.
서울은 올해 입주 물량이 3만1300가구로 예상되나 내년에는 4분의 1 수준인 7768가구로 급감할 전망이다.
또한 같은 기간 경기도는 6만1838가구에서 4만935가구로 축소되고, 인천은 2만327가구에서 1만2839가구로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2027년 이후에는 입주 물량이 반등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통상 인허가 물량은 3~4년의 시차를 두고 입주 물량에 영향을 미치는데, 수도권 인허가 물량은 2023년 18만2266가구, 2024년 21만2776가구로 늘어나는 추세다.
내년도 수도권 입주 물량 감소를 예상하는 가장 큰 이유도 2022년 인허가 물량(14만415가구)이 평균을 하회했기 때문이다.
입주 물량이 감소하면서 신축 아파트의 희소성도 더욱 크게 부각 될 전망이다. 분양업계 관계자는 “향후 2~3년간 입주 물량의 급감하는 가운데 공사비 인상과 조합과 시공사의 갈등 등으로 신축 아파트 공급이 예정보다 늦어질 위험 등이 더해지며 신축 프리미엄이 더욱 치솟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내수용' 임시공휴일, 일본에 퍼준 격…1월 국내여행 '털썩'
2소방 "안성 고속도로 공사장 사고로 4명 사망"
3NHN, 좀비 아포칼립스 게임 ‘다키스트 데이즈’ 글로벌 테스트 시작
4‘알파고 이긴’ 이세돌 “AI와 경쟁 아닌 공존해야…개성과 강점 키워라”
5"밀키스 맛에 반했다"...롯데칠성, 중동 음료 시장 공략 드라이브
6신영증권, 창립69주년 기념식 개최
7지난해 불법 유통된 콘텐츠 살펴보니..게임 소프트웨어가 38%로 가장 많아
8“신축 프리미엄 커지나”...내년 수도권 아파트 입주 7만 가구 이하로 ‘뚝’
9‘AG 피겨 金’ 차준환 선수, 여의도 KB금융 방문한 사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