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엔 내집마련 더 힘들겠네...26년 수도권 입주물량 10년새 최저
올해 대비 25% 수준, 2027년부터는 증가 예상

25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은 올해 11만3465가구를 기록한 후 2026년 6만9642가구로 급감할 전망이다.
수도권 입주 물량이 10만가구 밑으로 떨어지는 것은 2015년(9만2640가구) 이후 10년 만이다. 최근 10년(2015~2024년)간 수도권 연평균 14만4977가구가 입주했던 것과 비교하면 내년 입주 물량이 사실상 절반 수준으로 줄어드는 것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은 올해 3만1300가구에서 내년 7768가구로 급감할 전망이다. 같은 기간 경기도는 6만1838가구에서 4만9035가구로, 인천은 2만327가구에서 1만2839가구로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 분양업계 관계자는 "현재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의 아파트 가격은 객관적으로 높은 수준이 아님에도 고강도 대출규제 하나로 시장이 정체돼 있다고 봐도 된다"라며 "앞으로 입주물량은 계속 줄어들고, 대출규제가 하나씩 완화되면 재차 폭등기가 올 가능성도 충분하다"라고 전망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아모레퍼시픽, '피부재생 연구 결과' 국제 저널에 게재
2항암제 안 듣는 '전이암'도 치료…韓서 신물질 개발
3신한금융, 미국 관세 충격 중소·소상공인에 10.5조원 금융지원
4 트럼프, 中 협상 '올스톱'에 "'이것' 해결 안되면…"
5바닥이 어디냐…코스피 '관세 공포'에 5.57% 폭락 마감
6코웨이, ‘2025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 27년 연속 1위 선정
7“화려한 건 질색” 잘파세대, 체크카드도 ‘미니멀 룩’
8한국 '여권파워' 어쩌다 이렇게…39위로 추락
9‘1박2일’ 전북 찾은 제주은행·부산은행 직원·가족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