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초반 월세·자가 거주 비율 증가…전세 비율은 점차 감소
월세살이 비율 17.3%→21.3%

부동산 급등기 자산 격차가 확대되면서 가정을 꾸리는 청년 세대의 '주거 양극화'가 심화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 혼인·출산·주거'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5년 단위로 시행되는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를 코호트(cohort·공통된 특성을 가진 사람들 집단) 분석해서 1970∼1974년생, 1975∼1979년생, 1980∼1984년생, 1985∼1989년생 일반가구원의 주택 점유 형태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31∼35세(이하 30대 초반) 연령대 가구원 중 월세 형태 비율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1970∼1974년생이 30대 초반이던 때엔 월세 거주 비율이 17.3%였다.
이후 1975∼1979년생이 30대 초반이 된 시기엔 이 비율이 19.0%로 증가했다.
월세 비율은 1980∼1984년생 경우엔 20.8%, 1985∼1989년생은 21.3%로 계속 늘었다.
30대 초반에 '월세살이'를 하는 비율이 갈수록 늘고 있다는 의미다.
한편으론 자가에서 사는 사람의 비율도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30대 초반 자가 거주 비율은 1970∼1974년생이 48.1%, 1975∼1979년생이 46.6%, 1980∼1984년생이 51.1%, 1985∼1989년생이 49.0%였다.
약간 등락은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최근에 가까울 수록 자가 거주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라는 게 보고서의 분석이다.
이와 반대로 30대 초반 시기 전세 거주 비율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우하향'하는 흐름을 나타냈다.
보고서는 "가족 형성이 가장 활발한 30대 초반 청년층의 주거 점유 형태에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해석했다.
경제적 여력이 있는 청년들은 전세에서 자가로, 그렇지 못한 청년들은 전세에서 월세로 이동하며 양극화가 심해졌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다만 "자가 소유 비율은 역대 부동산 정책 변화와 경제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며 "해석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롯데건설·현대건설, 수원 구운1구역 주택재건축정비사업 수주
2엔씨소프트 ‘리니지2M’, 5월 20일 동남아시아 6개국 출시
3‘범 LG家’ 손잡았다…LS·LIG그룹, 방산 필두로 협력 강화 나선다
4컴투스, 전지적 독자 시점 IP 게임 퍼블리싱 판권 확보
5K-뷰티, 프랑스 제쳤다...미국 시장서 1위 달성
6김혜수 모델로 쓰더니...‘유동성 경색’ 발란, 결국 회생절차 신청
7우리은행, ‘WOORI 가족봉사단’ 100여 명 활동 개시
8국민카드 “모바일 신분증으로 카드업무 가능”
9 이재명 “尹 복귀는 제2계엄 의미”...국민의힘은 이재명 등 72명 '내란음모' 고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