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2월 예금 금리 2%대로 ‘뚝’…대출 금리는 여전히 4%대

신규 취급 예대금리차 1.49%로 확대 
“은행권 금리 인하 시차 두고 반영될 것”

서울의 한 거리에 은행 ATM 기기가 설치돼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은행이 취급하는 예금 금리가 2월 들어 2%대로 떨어졌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한 달 만에 다시 하락했으나, 예대금리차는 6개월째 격차를 키우고 있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2월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에 따르면 신규취급액 기준 대출금리는 4.46%로 전월 대비 0.07%포인트(p) 하락했다. 지난해 12월 이후 3개월 연속 하락한 것이다.

가계대출 금리는 4.52%로 전월보다 0.13%p 하락했다. 3개월 연속 하락세다. 가계대출 가운데 전세자금대출 금리는 4.09%로 0.07%p 하락했다. 일반신용대출 금리는 5.50%로 0.08%p 하락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4.23%로 0.04%p 하락했다. 전달 0.02%p 소폭 상승했다가 한 달 만에 하락 전환한 것이다. 주택담보대출 종류별로는 변동형 금리가 4.25%로 0.09%p 하락했고, 고정형 금리가 4.22%로 0.04%p 하락했다. 

김민수 한국은행 경제통계1국 금융통계팀 팀장은 “2월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떨어진 것은 보금자리론 금리가 2월 들어 0.3%p 인하한데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기업대출 금리는 4.43%로 0.07%p 하락했다. 대기업 대출금리는 4.41%, 중소기업 금리는 4.45%로 각각 0.07%p, 0.08%p 씩 하락했다.

예금 금리는 2월 들어 2%대까지 떨어졌다. 2월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저축성수신금리는 2.97%로 전월 대비 0.10%p 하락했다. 순수저축성예금 금리는 2.97%로 정기예금 등을 중심으로 0.11%p 하락했다. 시장형금융상품의 금리는 2.97%로 CD 등을 중심으로 0.07%p 하락했다. 

예대금리차는 전월보다 0.03%p 확대된 1.49%로, 작년 9월 이후 6개월째 격차를 키우고 있다. 대출금리 하락보다 예금금리 하락폭이 더 가팔랐다는 뜻이다. 잔액 기준 예대 금리차는 2.28%p에서 2.24%p로 0.04%p 축소됐다.

김민수 팀장은 “신규와 잔액 기준 예대금리차 방향이 다르다”며 “전체 차주들의 이자 부담을 보기 위해선 잔액 기준 예대금리차를 보는 것이 맞는데 잔액 기준 예대금리차는 전월에 이어 하락했다”고 말했다.

김 팀장은 “신규기준 예대금리차는 0.03%p 올랐는데, 지난해 10월까지 가산금리 인상이 이어지면서 작년 말까지 영향을 줬고 1월 중순 이후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내리겠다고 했기 때문에 신규 취급액 기준 대출 금리에도 시차를 두고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엔씨소프트 ‘리니지2M’, 5월 20일 동남아시아 6개국 출시

2‘범 LG家’ 손잡았다…LS·LIG그룹, 방산 필두로 협력 강화 나선다

3컴투스, 전지적 독자 시점 IP 게임 퍼블리싱 판권 확보

4K-뷰티, 프랑스 제쳤다...미국 시장서 1위 달성

5김혜수 모델로 쓰더니...‘유동성 경색’ 발란, 결국 회생절차 신청

6우리은행, ‘WOORI 가족봉사단’ 100여 명 활동 개시

7국민카드 “모바일 신분증으로 카드업무 가능”

8 이재명 “尹 복귀는 제2계엄 의미”...국민의힘은 이재명 등 72명 '내란음모' 고소

9'트렌드웨이브 2025' 초호화 라인업에 이어 中 무형문화재 작가들과 협업 공개

실시간 뉴스

1엔씨소프트 ‘리니지2M’, 5월 20일 동남아시아 6개국 출시

2‘범 LG家’ 손잡았다…LS·LIG그룹, 방산 필두로 협력 강화 나선다

3컴투스, 전지적 독자 시점 IP 게임 퍼블리싱 판권 확보

4K-뷰티, 프랑스 제쳤다...미국 시장서 1위 달성

5김혜수 모델로 쓰더니...‘유동성 경색’ 발란, 결국 회생절차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