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뉴욕유가, 관세 완화 기대에도 '강보합'…OPEC 수요 전망 하향에 제동

WTI 소폭 상승 마감

미국 텍사스주 카네스 시티 근처 시설의 석유 저장 탱크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뉴욕유가가 강보합세로 거래를 마쳤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자제품 상호관세 면제 발표로 투자 심리가 개선됐지만,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원유 수요 전망 하향 조정이 악재로 작용하며 상승세는 제한됐다. 

14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0.03달러(0.05%) 상승한 배럴당 61.53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6월 인도분은 전장보다 0.12달러(0.19%) 오른 배럴당 64.88달러에 마무리됐다.

OPEC은 이날 배포한 보고서에서 올해와 내년에 원유 수요가 하루 평균 130만 배럴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기존 추정치보다 하루 평균 15만 배럴 정도 감소한 수치다.

OPEC은 "세계 경제 성장은 올해 주요 경제국의 탄탄한 펀더멘털과 회복력을 바탕으로 시작됐다"며 "그러나 최근 세계 무역 관계의 변화로 전망이 바뀌었고 미국과 중국 간 관세 인상이 격해지면서 새로운 불확실성이 제기됐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소식에 이날 강세를 보이던 유가는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하며 강보합으로 장을 마쳤다.

유가는 이날 장 초반 2% 이상 오르던 터였다. 지난 주말 트럼프가 스마트폰과 반도체 등 주요 전자제품에 대해 중국에 부과한 상호관세를 면제한다고 밝힌 영향이다. 하지만 OPEC이 트럼프 관세를 이유로 원유 수요 전망치를 내려 잡으면서 유가도 하방 압력을 받았다.

골드만삭스는 지난 주말 배포한 투자 보고서에서 올해 남은 기간 WTI와 브렌트유 가격은 각각 배럴당 59달러와 63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와 별도로 미국과 이란이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두고 어떻게 협상해나가느냐도 원유 시장의 관심사다.

지난 11일 크리스 라이트 미국 에너지부 장관이 이란 핵 프로그램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트럼프가 이란 원유 수출을 중단할 수 있다고 발언한 후 유가는 탄력을 받은 바 있다. 미국과 이란은 오는 19일 오만에서 협상을 재개한다.

RBC캐피털마켓츠의 헬리마 크로프트 글로벌 상품 전략 총괄은 "현재 원유 시장은 이중고를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오스템임플란트, 대한치과의사협회와 국제치과의료기기전시회 성료

2'편당 1억' 웹소설, 나도 써볼까…시장규모 살펴보니

3하나금융, 美 라스베이거스서 지드래곤과 콜라보 광고 공개한다

4CMG제약, 필름형 조현병 치료제 美 FDA 품목허가 획득

5업스테이지, ‘AI로 여는 일의 미래’ 전략 발표…“글로벌 AI 업무 표준 주도할 것”

6김병현 "이자만 받아도 사업보다 많아" 연봉 얼마나 많았길래…

7이동욱 이주빈에 동거 제안…"오늘을 기억해" 왜?

8샤이니 태민·노제 열애설 불붙어…'두 사람, 껴안거나 팔짱'

9돌아온 바이든 "트럼프, 도끼 내리쳤다"...날 선 비판 왜?

실시간 뉴스

1오스템임플란트, 대한치과의사협회와 국제치과의료기기전시회 성료

2'편당 1억' 웹소설, 나도 써볼까…시장규모 살펴보니

3하나금융, 美 라스베이거스서 지드래곤과 콜라보 광고 공개한다

4CMG제약, 필름형 조현병 치료제 美 FDA 품목허가 획득

5업스테이지, ‘AI로 여는 일의 미래’ 전략 발표…“글로벌 AI 업무 표준 주도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