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지배하는 자본시장 ‘큰손’
여의도 지배하는 자본시장 ‘큰손’
![]() |
▶ |
“미래가 투자하면 미래 보인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입김’이 세다. 서울반도체(15.67%)를 비롯해 다음커뮤니케이션(14.67%), 하나로텔레콤(9.58%), 소디프신소재(9.49%), 엔빅스(6.77%) 등이 미래가 투자한 주식들이다. 미래에셋의 투자 방향에 따라 시장이 바뀐다고 할 정도다. 박현주 미래에셋금융그룹 회장은 자본이 시장을 바꾸는 ‘펀드자본주의’에 대해 “펀드에 권력이 들어가면 미래에셋은 그것을 포기하겠다”며 “지분 점유로 기업 경영에 영향력을 행사할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대신 기업이 경영을 잘할 수 있도록 조언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펀드 운용사로서 권력을 행사하는 대신 자본시장의 투명성을 강화하겠다는 얘기다. 하지만 지난 2월 동아제약 주주총회에서 미래에셋은 권력을 감추지 않았다. 당시 미래에셋은 강신호 동아제약 회장(6.94%)보다 많은 지분(8.42%)이 있었다. 미래에셋이 어떻게 지분 행사를 하느냐에 따라 강 회장과 그 차남인 강문석 부회장 간 경영권 다툼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상황. 업계에서는 “자산운용사가 투자 기업의 경영권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시각이 다수였지만 “투자 수익을 올릴 수 있다면 상관없다”는 의견도 있었다. 결국 미래에셋이 어느 한편의 손을 들어주지 않았으나 어마어마한 수탁액을 기반으로 시장 전체를 쥐락펴락할 힘을 갖고 있다는 사실만은 확인된 셈이다. 실제 미래에셋이 지난 3~4월에 사들인 동양제철화학, 효성의 주가는 같은 기간 동안 각각 176%, 52%씩 올랐다. 업계에서는 종합주가지수가 1800을 돌파하는 데 미래에셋이 역할을 했다고 평가한다. 가령 이런 식이다. 국내 주식형 펀드에 환매가 들어오면 미래에셋은 대형주를 외국인 투자자에게 팔아 시장에서의 충격을 줄였다. 대신 중형주를 사서 수익률을 높였다.
![]() |
지나친 독주 경계하는 시각도 최근 4년 동안의 수익률 상위 펀드를 살펴보면 최상위 10개 중 미래에셋펀드가 1~4위를 차지한 것을 알 수 있다. 투자자들은 돈을 좇고 펀드는 수익이 나야 돈을 토해낸다. 수익률이 높은 펀드에 큰손이 몰리는 것은 당연한 일. 인디펜던스 주식형을 포함해 ‘3억 만들기 솔로몬(C-A)’ ‘3억 좋은 기업주식 K-1’ 등 7개의 펀드가 각각 1조원 넘게 몰렸다. 디스커버리 주식형도 운용 규모가 9100억원가량이다. 부동산 시장에서도 미래에셋 파워가 감지된다. 2004년 12월부터 시작한 부동산 펀드는 미래에셋의 새로운 개척 분야다. 서울 도심 곳곳이 이 회사의 투자 대상이다. 2004년 ‘맵스프런티어 부동산 4호’를 시작으로 최근의 ‘맵스 아시아퍼시픽 부동산공모 1호’까지 대치동, 삼성동, 역삼동, 세종로, 한남동, 을지로 등으로 투자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 |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세모통, 헬로모바일과 손잡고 알뜰폰 시장 공략 강화
2"SKT, AI 넘어 양자사업까지 확장한다"...美 IonQ와 협력 논의
3한화에어로, 3.6→2.3조 유증도 '제동'…금감원 "2차 정정요구"
4트럼프 지지율, 가파르게 추락…100일도 안돼 '역대 최저치'
5일본에서 난리났다...무신사, K-패션 성공 가능성 입증
6“식료품 맛집”...이마트, 푸드마켓 고덕점 오픈
7이창용 한은 총재 “美 관세에 통화정책 ‘어두운 터널’”(종합)
8퍼스널 아이웨어 ‘브리즘’, 8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9해태아이스, 신제품 4종 출시로 제로 라인업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