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고기 태풍에 흔들리는 한국 경제
쇠고기 태풍에 흔들리는 한국 경제
하반기 경제운용계획이 발표된 7월 2일 코스피지수가 1일보다 42.86포인트(2.56%) 급락했다. 아시아 국가 대부분의 주가도 떨어졌지만 다른 데가 1% 정도 하락한 데 비해 한국은 그 두 배도 넘게 큰 폭으로 주저앉았다. ‘경제종합안정대책’이란 이름으로 발표된 하반기 경제운용계획의 약발이 시원찮음을 보여준다. 그날 민주노총은 총파업을 벌였고, 서울광장에선 어김없이 촛불집회가 열렸다. 이튿날 주가는 더 떨어져 장중 코스피지수 1600선이 뚫렸고, 환율과 금리는 급등했다. 2일 환율이 1057원까지 급등하자 외환당국은 장 막판 대규모 시장 개입을 통해 1035원에 붙잡아놓았다. 하지만 약발은 하루를 못 가 3일 다시 10원이 올라 1045원으로 마감했다.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하루 사이 0.09%포인트 오른 연 6.06%로 올 들어 처음으로 6%를 넘어섰다. 환율 정책은 MB정부 1기 경제팀의 가장 대표적인 정책실패 사례다. 기획재정부는 2월 25일 정부출범 직후부터 단기적인 성장률 목표에 집착해 환율을 끌어올려 수출을 늘리려는 고(高)환율 정책을 폈다. 그러나 고환율은 고물가를 낳았고, 소비와 투자를 더욱 위축시켰다. 물가가 급등하고 체감경기가 급랭하자 5월 말부터 황급히 달러를 내다 팔면서 환율상승을 막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지만 이미 경제운용은 뒤틀린 뒤였다. 인위적인 고환율 정책의 실패는 미국산 쇠고기 파동·인사 파행 등과 함께 MB정부의 리더십에 타격을 가하고 정책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린 주범이다. 급기야 6월 소비자물가는 5.5% 급상승함으로써 하반기 물가 상승률이 성장률을 추월할 것임을 예고했다. 한국은행은 하반기 물가 상승률을 5.2%, 성장률을 3.9%로 내다봤다. 물가 상승률이 성장률보다 1.3%포인트나 높아짐으로써 그렇지 않아도 팍팍한 생활이 더욱 고달프게 생겼다.
|
내각 일괄사퇴 한 달 넘도록 개각도 못해 이런 판에 내각이 일괄 사의를 표명한 뒤 한 달이 다 되도록 개각은 이뤄지지 않고, 일부 공공기관장 인선 과정에서 ‘MB식 낙하산 인사’ 잡음이 일고 있다. 국회법이 정한 시한을 한 달 이상 넘긴 채 18대 국회가 문을 열지 않아 민생법안이 처리되지 못하고, 북한 핵의 상징물인 영변 원자로 냉각탑 폭파 현장에 초대받지도 못하는 등 달라지는 동북아 구도에서 한국이 소외 당하고 있다. 게다가 미국은 부시 대통령의 7월 방한 일정 취소와 8월 방한 일정을 한국 정부와 상의 없이 먼저 발표하는 등 두 차례나 결례했다. MB정부가 출범한 지 이제 넉 달 지났다. 그런데 국민은 어느 새 정권 말기에나 나타나는 피로감을 느낀다. 그동안의 과속과 일방통행식 국정운영 과정에서 신뢰를 잃어서다. 정부와 정책에 대한 신뢰 상실은 경제주체들의 무기력과 활력 퇴조로 이어져 경제 상황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모든 일을 직접 다 챙기는 MB의 국정운영 스타일로 볼 때 정부 출범 초기 일찍 매를 맞은 게 나을 수도 있다. 문제는 지금부터다. 쇠고기 파동이 던져주는 교훈 등 정부 출범 이후 120일의 학습효과를 제대로 살리는 게 중요하다. ‘비즈니스 프렌들리’도 좋지만 처음 시작하는 마음으로 항상 국민을 생각하는 ‘피플 프렌들리’가 먼저다. 슬로건으로 강조해온 실용과 균형으로 2008년 6월의 갈등을 넘어야 한다.
|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외교부 "추도식 관련 日 태도에 어제 유감 표명"
2내년 韓 경제성장률 '주춤'…트럼프 당선 때문?
3티웨이항공, 신입 및 경력 사원 채용...내달 4일까지
4이세영, 과감한 비주얼로 순정남 '쥐락펴락'
5"HUG 보증 요건 강화하면 빌라 70%는 전세보증 불가"
6서현진X공유, 베드신 수위 어떻길래…"흥미로웠다"
7“‘非아파트’를 아파트처럼” 규제 완화 본격 나선 정부…주택공급 효과 있을까?
8미래에셋,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ETF’ 신규 상장
9KB자산운용, ‘RISE 미국AI테크액티브 ETF’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