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기업 M&A로 글로벌 경쟁 주도
게임기업 M&A로 글로벌 경쟁 주도
게임 개발 관련 회의 중인 CJ인터넷 직원들. |
지난 3월 열린 제2회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대회 한·일 간 결승전은 손에 땀을 쥐게 하는 박빙의 승부였다. 하지만 당시 게임 매니어들의 눈에는 야구 경기뿐 아니라 한국 대표팀 헬멧 좌우측에 새겨진 ‘마구마구’라는 글귀가 들어왔다. ‘마구마구’는 게임업체인 CJ인터넷(대표: 정영종)이 자랑하는 온라인 야구 게임이다.
WBC에 참가하는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스폰서로 나선 CJ인터넷이 자사의 ‘마구마구’ 게임 로고를 선수들의 헬멧에 새겨 넣었다. WBC대회의 폭발적 인기에 덩달아 ‘마구마구’도 엄청난 광고효과를 누렸다. 한때 동시접속자 수가 50% 이상 증가했다. 내친 김에 2009년 한국 프로야구 정규시즌 스폰서(35억원)까지 떠맡았다.
“한국 프로야구가 잘돼야 ‘마구마구’ 게임도 확산되리라는 취지에서 스폰서를 맡았다”고 이 회사 퍼블리싱사업본부장 권영식 상무는 말했다. 게임업체가 한국 프로야구에 돈을 대는 시대가 왔다. 그런데 CJ인터넷? 회사 이름만으론 뭐 하는 기업인가 싶다. 그러나 이 회사는 국내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게임업체이자 게임 포털 사이트 ‘넷마블’을 운영한다.
넷마블은 올 7월 말 현재 회원 수 2800만 명(CJ인터넷 주장)을 헤아리는 국내 최대 게임 포털의 하나다. 대표적인 게임으로는 앞서의 ‘마구마구’를 비롯해 대표적 1인칭 슈팅(FPS·First Person Shooting)게임인 ‘서든어택’, 다중 접속 온라인 롤플레잉게임(MMORPG)인 프리우스 등이 있으며 총 60여 종의 게임을 제공한다. 지난해 매출 1936억원에 555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둬들였다.
매출 규모로는 넥슨, NHN, 엔씨소프트에 이어 4위다. 해외 시장에서 활약이 그리 대단하지도 않다. (지난해 계약금과 로열티를 포함해 3400만 달러 정도 수출 계약을 체결했을 뿐이다) 그럼에도 몇몇 두드러진 행보로 업계의 주목을 받는다. 이를테면 서든어택의 롱런 기록이다.
이 게임은 지난해 11월까지 국내 PC방 온라인 게임에서 104주 연속 1위라는 기록을 세웠다. 또 넷마블에서 제공하는 60여 개 게임 중 13개가 월 1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등 안정된 포트폴리오를 갖췄다. 2006년 서든어택을 출시하기 전에는 소위 대박 게임도 없었다. 작은 게 뭉쳐 큰 걸 일궈낸 기업이라고 이 회사의 정영종(45) 대표가 소개했다.
한두 가지 주력 상품에 매출을 의존하는 구조가 아닌 덕에 외부의 충격과 변화에 보다 유연하게 대처할 능력이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김진석 게임문화e스포츠팀장은 “CJ라는 대기업의 계열사로서 게임의 장르를 다양하게 갖췄다는 장점이 있다”고 CJ인터넷을 평가했다. 게임 관련 업체의 기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게임을 만드는 개발 기능이고 다른 하나는 개발된 게임을 사용자들에게 공급하는 이른바 퍼블리싱(Publishing)기능이다. CJ인터넷은 자기가 만든 게임보다는 남이 만든 게임을 넷마블을 통해 사용자에게 서비스하는 비중이 더 크다. 전체 매출에서 자체 개발 게임이 차지하는 비율은 30% 정도고 나머지는 외부업체들이 만든 게임이라고 김동희 이사가 밝혔다.
이는 넷마블이라는 게임 포털 사이트가 있어 가능했다. 독자 판로를 찾기보다 넷마블을 통한 유통이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하는 게임 제작사들이 몰린다는 말이다. 생명력이 약한 게임은 한때 반짝하고는 식상해지게 마련이다. 이때 게임에 변화를 줘서 사용자들의 흥미를 계속 이끌어내는 능력이 필요하다.
CJ인터넷은 이에 능하다. 실제로 최근(7월 넷째 주)에는 온라인 게임 전문사이트 게임노트가 집계한 순위에서 서든어택이 올 들어 내내 정상을 차지해온 아이온을 주저앉히고 다시 1위로 복귀하는 저력을 과시했다. 인기 아이돌 그룹 빅뱅을 캐릭터로 등장시켜 판세를 뒤집는 전략이 적중한 셈이다.
게다가 사용자가 대기시간 없이 자동으로 빈방에 들어가는 ‘퀵 스타트’ 기능을 주는 등 이 게임은 쉽게 하는 게임으로 거듭 진화했다. 이 회사는 넷마블의 쌍두마차라 할 서든어택과 마구마구를 선보인 2006년 이래 본격적인 성장궤도에 올랐다. 2006년 처음으로 1000억원(1052억원)대에 진입한 매출액이 1598억원(2007년), 1936억원(2008년) 등 해마다 500억원씩 증가했다.
하지만 화려한 외양 뒤에는 성장통이 없지 않다. CJ인터넷은 2005년 1월 게임 전문 스튜디오 CJIG를 세워 독자적인 게임 개발에 착수했다. 하지만 CJIG가 출시한 게임이 흥행에 실패하면서 지난해만 114억원의 손실을 봤다. 해외에서도 찬바람이 불었다. 지난해 중국법인과 일본법인에서 각각 40억원과 12억원의 적자를 냈다.
많은 돈을 주고 사들인 외국의 게임을 현지 법인에서 출시했지만 회수율이 극히 저조했다. 어떤 경우는 20%도 안 됐다. 인력과 게임, 경영 모두 철저하게 현지화하지 않은 데서 온 후유증이다. 수업료치고는 비쌌지만 그에 상응하는 교훈도 얻었다. 먼저 여러 개 게임을 동시다발로 개발하던 방식에서 하나씩 순차적으로 개발하는 쪽으로 완급을 조절했다.
더 중요하게는 게임 개발을 보다 전향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게 됐다. 예컨대 게임과 같은 콘텐트 산업은 성공률이 워낙 떨어진다. 따라서 게임의 개발도 중요하지만 안정적인 수익을 주는 게임을 얼마나 많이 확보하느냐가 기업 경쟁력의 척도이기도 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 개발보다는 사다 쓰는 쪽이 더 빠르고 효율적일 수도 있다는 점을 고민하게 됐다”고 정 대표가 말했다.
해외 법인 또한 사업의 성공요인을 익힌 게 성과라면 성과다. 일본인 법인장을 영입한 뒤로 일본 법인이 안정을 되찾아 흑자기조로 접어든다고 CJ인터넷은 전했다. 그렇더라도 게임업체는 게임 개발과 공급(퍼블리싱)이라는 양 날개로 날아야 한다는 믿음엔 변함이 없다. 상대적으로 뒤처진 게임 개발 능력은 국내외 유망 게임제작사를 인수합병(M&A)해 보완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기도 하다. 한국 업체들보다 수십 배 덩치가 큰 중국과 미국의 기업들이 조만간 온라인 게임 시장에 진출하려고 국내 게임 기업의 인수합병에 뛰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CJ인터넷은 전망한다. “막강 자본력을 갖춘 해외 글로벌 기업이 국내 업체를 인수한다면 토종 기업들도 그에 맞서 규모의 경제를 갖춰야 경쟁이 된다”고 김동희 이사는 말했다.
CJ인터넷은 해외 시장 개척도 꾸준히 추진한다. 일본, 중국, 미국은 물론 러시아, 유럽 등 해외 현지 법인에 지금의 넷마블을 하나씩 두겠다는 목표다. “시간은 걸리겠지만 끝내는 한국 본사는 해외 사업을 지원하는 역할만 하고, 실제 사업조직들은 해외에 두는 형태로 가겠다”고 정 대표가 회사의 미래를 그렸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하나은행도 비대면 대출 ‘셧다운’…“연말 가계대출 관리”
2 삼성전자, 10조원 규모 자사주 매입 “주주가치 제고”
3미래에셋증권, ‘아직도 시리즈’ 숏츠 출시…“연금 투자 고정관념 타파”
4대출규제 영향에…10월 전국 집값 상승폭 축소
5“하루 한 팩으로 끝”...농심, 여성 맞춤형 멀티비타민 출시
6미래에셋, ‘TIGER 글로벌BBIG액티브 ETF’→’TIGER 글로벌이노베이션액티브 ETF’ 명칭 변경
7한투운용 ‘ACE 주주환원가치주액티브 ETF’, 주주가치 섹터 중 연초 이후 수익률 1위
8한국투자證, 홍콩서 IR행사, 'KIS 나잇' 개최
9‘비상경영’ 신세계면세점, 창사 이래 첫 희망퇴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