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소비 시장에 길 있다”
“중국 소비 시장에 길 있다”
경기선행지수가 13개월 만에 하락했다. 그러나 양정원(49) 삼성투신운용 주식운용본부장은 “단기 이슈에 불과하다”고 잘라 말한다. 외국인의 매도 현상 역시 일시적인 것이라고 했다.
그에 따르면 그리스 재정 문제, 미국 고용·소비 부진은 더 이상 악재가 아니다. 예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양 본부장이 최근 일어나는 이슈를 가볍게 여기는 것은 아니다.
다만 그는 “지수를 맞히려 하지 말고 경기의 흐름을 보라”고 주문했다.
>> 경기선행지수 하락이 주가에 영향을 미칠까.“큰 영향은 없을 것이다. 시장 정체는 4분기까지 계속될 전망이다. 지난해 많이 올라서 올해는 상승 재료가 없다.”
>> 그리스·미국발 이슈가 악재가 아니라면 무엇을 봐야 하나.“글로벌 경제위기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미국이 무역적자를 개선해야 한다. 과거에는 중국이 만들고 미국이 샀다. 이제는 미국이 만들고 중국이 살 때다. 글로벌 수요의 재조정이 일어나는 것이다. 저축률이 계속 높아지는 미국은 더 이상 소비할 여력이 없다. 반면 중국은 소비가 급속도로 늘고 있다. 이미 2008년 세계 소비 증가 기여도에서 중국이 미국을 추월했다.”
>> 국내 경기가 중국의 영향을 받을까.“한국의 전체 수출에서 중국, 동남아시아가 차지하는 비중이 30%다. 중국 소비가 성장하면 당연히 득을 본다. 또 우리나라는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펀더멘털(기본 여건)이 강해졌다. 반도체, LCD, 휴대전화, 조선, 자동차 등 많은 업종에서 글로벌 경쟁력도 갖췄다. 한국 경제는 장기적으로 낙관적이다.”
>> 그렇다면 어디에 투자해야 하나.“중국 소비와 관련한 한국 대표 기업이 유망하다. 한국 대표 주식에 투자하는 그룹주 펀드나 중국 본토에 투자하는 펀드에 2년 정도 장기투자하기를 권한다.”
>> 앞으로 변수는.“생명보험사 상장 등으로 주식시장에 공급 물량이 늘어 수급이 불안해질 수 있다. 5월에 MSCI 선진국지수 편입이 결정되면 숨통이 트일 것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서울 아파트 평당 매매가 4천만원 붕괴…전월 대비 5.2%↓
2‘이민정♥’이병헌, 늦둥이 딸 손잡고 산책... 딸바보 다 됐네
3故 김새론 팬들, 추모 성명문... “잘못에 지나치게 가혹한 대중”
4코스피, 트럼프 관세 정책에도 닷새째 상승…2600대 돌파 코앞
5LF몰, 24일까지 ‘트렌드 프리뷰’…봄 신상 최대 3만원 할인
6“호캉스+생일파티 한 번에!”…더 플라자, ‘해피 벌스데이’ 패키지 출시
7뉴발란스, 2027년 한국 지사 설립한다…이랜드와 라이선스 계약도 유지
8원/달러 환율, 美 소매판매 부진 영향에 소폭 하락
9크림, 티켓 거래 350% 성장…‘문화 소비 플랫폼’으로 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