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스크랩 시장 움직임] 고철이 ‘아이언플레이션’<철(Iron)+인플레이션(Inflation)> 주범?
[철스크랩 시장 움직임] 고철이 ‘아이언플레이션’<철(Iron)+인플레이션(Inflation)> 주범?
물가 잡기에 나선 정부의 눈치만 보던 국내 철강업계가 2월 들어 일제히 철근 가격을 올렸다. 천정부지로 오르는 원재료 값을 감당할 수 없었다는 게 업계의 항변이다. 특히 철스크랩(고철) 값 상승을 이유로 든다. 틀린 말은 아니다. 지난해 10월 t당 40만~42만원, 올 1월 37만~38만원 수준이던 철스크랩 가격(A급 생철 기준)은 최근 50만~55만원에 거래된다. 수입 단가도 크게 올랐다. 관세청에 따르면 올 1월 중 철스크랩의 t당 수입 가격은 601달러로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전달에 비하면 16%, 1년 전과 비교하면 65%나 올랐다.
전문가들은 철스크랩 가격 상승이 상당 기간 이어질 것으로 본다. 산은경제연구소 이민식 수석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국내 철스크랩 수요 증가, 철광석 등 원료 가격 상승, 중국과 동남아의 수요 증가, 선진국 수요 회복 등으로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고 분석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김유진 연구원은 “철강 원료 가격의 강세가 예상되고 글로벌 조강 수요가 공급을 상회한다”며 “국제 철강 가격 및 스크랩 가격의 전반적 강세장을 전망한다”고 밝혔다. 최근 업종분석 보고서를 내놓은 증권사의 철강 담당 애널리스트 대부분도 철스크랩 값이 더 오를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한다.
하지만 국내 철스크랩 가격 폭등이 오로지 수입 가격 상승 때문만은 아니다. 국내 철스크랩 자급률은 70%다. 그만큼 국내 요인도 크다는 것이다. 여러 이유가 있지만 무엇보다 철스크랩 자체의 수요가 늘었다는 데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철스크랩을 많이 활용하는 전기로 설비가 확대되고 친환경 소재인 철스크랩의 중요성이 부각됐기 때문이다. 국내 전체 조강생산에서 전기로가 차지하는 비중은 45% 안팎. 세계 평균은 28%다.
또한 고로에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싼 철스크랩을 활용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다. 원가 절감을 위해서다.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고로에서 쇳물을 만들 때 철스크랩 투입 비율을 1%포인트 높이면 연간 약 500만t의 철스크랩 수요가 발생한다.
고철로만 여기던 철스크랩은 ‘아이언플레이션: 철(ir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의 주범으로 몰린다. 역으로 그만큼 몸값이 올랐다는 얘기다. 정부는 최근 철스크랩 업계 실태조사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정부가 단속에 나설 것이 아니라 국내 철스크랩 자급률을 올리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말한다.
철스크랩 회수율을 높이는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복잡한 유통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정부가 먼저 할 일이라는 것이다. 또한 철강업계와 철스크랩 업체가 협력해 안정적 수급 대책을 마련하고, 철스크랩 업계도 그동안 논란이 된 담합이나 사재기 등을 근절하는 자정 노력을 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박서진, 병역면제 판정…정신질환 이유
2"잘한 만큼 줘야 하지 않겠나" 2020 이정후 넘어 '4년 차 최고 연봉' 지붕 뚫어낼까
3삼성자산운용 대표이사에 김우석 삼성생명 자산운용부문장 내정
4이도-한림읍, 청정지역 제주시 한림읍 해양폐기물 처리 ‘맞손’
5신한은행,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오픈
6엔씨소프트 ‘저니 오브 모나크’, 사전예약 800만 달성
7'서울원' 흥행·재무구조 개선에 실적 호조 기록한 HDC현산
8SPC그룹, 연말 맞이 ‘임직원 헌혈 송년회’ 진행
9이랜드 미쏘, 연말 시즌 맞아 윈터 홀리데이 컬렉션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