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Issue | 한전 vs 통신사 밥그릇 싸움 - 스마트그리드(차세대 전력망) 사업 놓고 서로 자기 방식만 고집

Issue | 한전 vs 통신사 밥그릇 싸움 - 스마트그리드(차세대 전력망) 사업 놓고 서로 자기 방식만 고집

제주 실증사업 결과 모두 낙제점 … 사업 개발 속도 일본에 뒤져
KT가 서울 염리동에서 운영 중인 스마트그리드 센터.



최근 일본을 다녀온 곽승현 SK텔레콤 스마트그리드 팀 매니저는 “가슴이 답답했다”고 말했다. 한 수 아래로 여겨진 일본 스마트그리드 사업이 한국보다 앞서 있는 걸 봐서다. 일본 정부는 원전 사고 이후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펼쳤다. 스마트그리드 분야는 일본이 힘을 기울인 에너지 사업 중 하나다. 스마트그리드는 전력망에 정보기술(IT)을 접목해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차세대 전력망이다.

한국 정부와 관련 기업들은 지난 수 년 간 다양한 사업 모델을 내놓았다. 하지만 투자에 비해 발전 속도가 더디다는 평가다. 스마트그리드의 양축인 전력과 통신 간 협력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업 초기부터 한국전력 측은 기존의 전력선을 통해 대용량의 데이터를 주고 받는 전력선통신(PLC)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했다.

한전 관계자는 “전력선 만으로 실시간으로 각 가정의 전기 사용량을 파악하고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등 스마트그리드의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통신업계 관계자는 “전력선은 전기전자 기기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줄이기 위한 별도 장치가 필요해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며 “전력선과 유선통신, 그리고 무선 통신망을 모두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기술적으로도 더 안정적”이라고 반박했다.



사업 진행 위해 서로 대승적 양보 절실미국과 유럽 등지에서도 다양한 방법을 사용 중이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기업 간 이해관계에 가로 막혀 전력기업과 통신사가 따로 놀고 있다. 특히 전력을 공급하는 한전이 자사 기술을 고집해 다른 기업이 진출하기 어렵다.

2009년 정부가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본격 추진할 당시 한전 관계자는 “전력망 사업은 오랜 경험의 축적이 필요하기 때문에 통신망을 통해 전력망을 검침하려면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며 “통신 사업자가 하루 아침에 이해할 수 있는 산업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통신업체들은 그동안 한전이 시장을 독점하기 위해 통신기업의 참여 기회를 막고 있다고 본다. 통신업체 관계자는 “스마트그리드의 핵심 기능은 각종 가전제품이나 전기설비의 가동을 통제하고 전기값이 싼 시간대를 골라 자동 운영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EMS)인데 기술력이 앞선 통신사를 배제하고 한전이 자체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고 맞받았다.

결국 한전과 통신사는 스마트그리드 보급을 놓고 각기 다른 방식으로 경쟁을 펼쳤다. 2010년부터 정부가 3년 간 추진한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사업에 참여한 한전과 KT, SKT,LG유플러스는 제각기 다른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했다. KT는 원격검침 인프라(AMI)에 무선통신을, 한전은 AMI에 PLC칩 적용한 유선통신을, SKT는 WCDMA(3G)·저속PLC(외산)·지그비·인터넷, LG유플러스는 인터넷(유선 이더넷)과 지그비를 적용한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했다.

AMI는 유·무선망을 통해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점검할 수 있는 설비다. 지난해 제주도 스마트그리드 시범사업이 종료되자 문제가 불거졌다. 유·무선망을 타고 AMI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고 도착하는 비율이 사업화에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력거래소의 테스트에서 한전·SKT·KT·LG 등은 각자 컨소시엄을 꾸려 참여했지만 AMI 수신율은 평균 90%에도 못 미쳤다. 사업화가 가능한 최소한의 수신율은 98%다.

이와 관련 이원욱 민주당 의원은 “PLC 칩 상호호환성 문제, KS규격 미달, AMI 사업성 문제가 한번에 드러났다”며“한전과 통신사 간 대승적 양보가 필요하다”고 비판했다. 제주도 실증사업의 결과는 사업 진행 속도에 영향을 미쳤다. 사업자 간 시스템 상호호환성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에서 사업을 서두를 경우 자칫 제주 실증단지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신중론에 힘이 실렸다. 결국 실증단지 다음 단계인 거점도시 선정이 두 차례나 연기되며 사업 진행에 차질이 생겼다.

전문가들은 스마트그리드 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통신과 전력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문승일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같이 힘을 모아 판을 키워야 할 시기에 불필요한 갈등이 벌어져 사업 진행이 느려졌다”며 “한국이 한 발 앞설 수 있는 산업이 경쟁국에 뒤쳐질 가능성이 커졌다”고 비판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10월에야 미뤄진 스마트그리드 거점도시를 선정했다. 한전은 지난해부터 8년 간 총 1조7000억원을 투자해 전국 2194만 가구에 AMI를 설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스마트그리드의 기본 인프라인 AMI가 제 기능을 못하는 상황에서 사업 진행은 무리라는 지적이 나온다.

AMI 설비, 유·무선망, AMI 서버 등 스마트그리드를 실현하기 위한 3가지 설비를 각각 다른 제조사가 만들고 있다. 설비 호환성이 떨어질 공산이 큰 것이다. 제주도 실증사업에서 수신율 측정에 사용된 3가지 설비는 사업 참여 기업의 자체 기술로 개발됐다.



거점도시 착수 두 차례 연기전문가들은 기본 인프라를 어떤 방식으로, 누가 운영할지 정부의 교통정리가 필요하고 말한다. 김진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진흥과 스마트그리드 팀장은 “전력업계와 통신업계 간 협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정부도 인지하고 있다”며 “기업 간 협의체 등을 구성해서 사업자들끼리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기업에서도 이제는 변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김성훈 KT스마트에너지 총괄 상무는 “지난 3년 간은 통신과 전력 양측이 서로를 이해하는 기간이라고 봐달라”며 “올해 진행하는 사업에서는 이전과 다른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업계 실무진에서는 마이크로그리드용 플랫폼을 공동 개발하고, PLC 위주로 진행됐던 AMI 사업도 좀 더 다양한 통신방식을 수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전 AMI 사업에서 기반으로 삼고 있는 통신방식인 PLC 외에 지그비·와이파이 등 다양한 통신방식을 하나의 시스템에서 수용하기 위한 연구도 시작됐다. 조환익 한전 사장은 2월 국회에서 열린 스마트그리드 포럼에서 “그동안 불협화음이 많았지만 이제부터는 다른 모습을 보이겠다”며 “올해 한전의 달라진 모습을 지켜봐 달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무비자 中입국 전 확인...“호텔 아닌 친지집 머물려면 임시거주등록 필요”

2된장·간장에 담긴 K-손맛…한국 장 담그기, 인류무형유산 된다

3태국 아기하마 ‘무뎅’이 점쳤다…미 대선 승자는 바로 ‘이 사람’

4내일 더 춥다…수도권 내륙 첫 영하권, 서울도 최저

5“밤 10시부터 사용 금지”…내년 1월부터 10대 인스타 사용 제한된다

6경북 울진군, 신세대 해녀 양성으로 어촌에 활력

7경주시, 8일 APEC 2025 성공개최 기원 콘서트

811월의 고령군, 다채로운 문화행사로 풍성해 지다

9"영덕대게가 돌아왔다" 올해 금어기 마치고 첫 출하

실시간 뉴스

1무비자 中입국 전 확인...“호텔 아닌 친지집 머물려면 임시거주등록 필요”

2된장·간장에 담긴 K-손맛…한국 장 담그기, 인류무형유산 된다

3태국 아기하마 ‘무뎅’이 점쳤다…미 대선 승자는 바로 ‘이 사람’

4내일 더 춥다…수도권 내륙 첫 영하권, 서울도 최저

5“밤 10시부터 사용 금지”…내년 1월부터 10대 인스타 사용 제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