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 인상 그 후-다시 불붙는 환율전쟁] 수퍼달러 vs 위안·유로·엔 포화 속으로
[美 금리 인상 그 후-다시 불붙는 환율전쟁] 수퍼달러 vs 위안·유로·엔 포화 속으로

원화가치도 크게 출렁이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3분기 하루 평균 달러 대비 원화 변동폭(최고가와 최저가 차이)은 7.3원(0.63%)이었다. 유럽 재정위기가 한창이던 2011년 4분기 이후 최대폭이었다. 원화가치 변동폭은 향후 더욱 커질 전망이다. 세계 경제의 탈동조화 속에 원화는 경상수지 흑자라는 강세 요인과 G2(미국·중국) 리스크라는 약세 요인이 혼재해 있다. 더욱이 원화가치는 위안화의 등락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향후 중국의 통화정책에 따라 변동폭은 더욱 커질 수 있다. 최문박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환율 변동성 확대는 그 자체로 경기에 부담”이라며 “미래 수익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져 투자를 위축시키고, 환위험 관리비용 증가가 가격 상승 압력으로 작용해 소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위안화 절하에 팔 걷은 중국 정부
지난 11월 말 현재 중국 외환보유액은 3조4400억 달러(약 4070조원)로 전달 대비 872억 달러(약 103조원) 감소했다. 월간 단위로 역대 세 번째로 큰 감소폭이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 기대로 거액의 자본이 유출되자 중국 정부가 외환보유액을 써서 막았기 때문이다. 캐피털이코노믹스에 따르면 11월 중국에서 빠져나간 자금은 1130억 달러(약 133조원)으로 추산된다. 지난 8월 급격한 위안화 절하도 자본 유출을 부추겼다. 그럼에도 중국이 위안화 절하에 적극 나서는 것은 자본 유출에 따른 손실보다 자국 수출기업 경쟁력을 높여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더 크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위안화는 향후 더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일부 전문가들은 내년 2분기를 전후로 위안화가 달러당 7위안대에 진입할 수 있다고 내다본다.
일본 엔화 변동성도 예의주시해야 한다. 최근 한국 경제, 특히 수출이 부진한 주된 이유 중 하나는 엔저다. 엔화는 일본 정부의 양적완화 정책에 따라 2013년 초 달러당 75엔에서 최근 120엔대로 40% 가까이 절하됐다. 엔화가치 하락세는 올 들어 다소 진정됐다. 국제 투자은행(IB)들도 내년에는 엔화가치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다. 엔화 약세와 저유가, 아베노믹스 영향으로 경상수지가 최근 16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할 만큼 일본 경제가 좋아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엔화가치가 오를 경우 일본 중앙은행(BOJ)이 추가 양적완화로 저지할 가능성이 있다. 지난 11월 일본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3.3% 감소하면서 경기 회복세가 둔화된 것도 이런 관측에 무게를 싣는다.
유로화 역시 약세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유럽중앙은행(ECB)은 12월 3일 마이너스 0.2%인 예금금리를 0.1%포인트 추가 인하했다. 또한 전면적인 양적완화 시행 기한을 기존보다 6개월 연장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추가 대책이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오히려 유로화가 강세로 돌아섰다. 그러자 마리오 드라기 ECB 총재는 최근 기자회견을 통해 “유럽 경제성장을 지속하기 위해 ECB는 언제든 행동할 준비가 돼 있다”며 “추가 양적완화를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로화를 더 찍어 시장에 풀겠다는 얘기다. 만약 EU가 추가 양적완화에 나설 경우, 유로화와 달러화 가치가 같아지는 ‘패러티(parity)’가 앞당겨질 수 있다.
다른 선진국과 신흥국도 사분오열하고 있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앞서 뉴질랜드는 금리를 추가 인하했고, 남아프리카·잠비아 등 일부 아프리카 국가들은 인상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린 12월 16일 이후에는 통화정책의 탈동조화(decoupling) 또는 대분열(great divergence) 현상이 노골화되고 있다. 홍콩과 중동 3개국(사우디·쿠웨이트·바레인)은 즉각 금리를 올렸고, 노르웨이와 필리핀은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미국과 보조를 맞출 것으로 보였던 영국은 최근 영국중앙은행(BOE) 부총재가 나서 “임금이 충분히 오르지 않는 이상 기준금리 인상은 없다”고 못 박았다. 캐나다와 러시아는 오히려 금리 인하를 검토 중이다.
“한국도 점진적으로 원화가치 내려야”
하지만 이번엔 사정이 다르다. 그때는 경고였고, 지금은 현실이다. 한국 정부가 외환시장에 개입할 입지가 약한 것은 사실이지만, 각국의 통화 절하 경쟁 속에 넋 놓고 있다가는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위안화와 엔화의 평가절하만큼 원화가치를 내려 수출을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자본 유출을 고려해 점진적으로 환율을 높이는(원화가치 하락) 방법을 택한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더욱이 ‘미국 금리 인상+위안화 가치 하락+엔저+신흥국 자본 유출’ 조합은 한국에는 끔찍한 기억이다. 1997년 외환위기 직전과 매우 흡사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펀더멘털이 그때와는 다르다고 하지만, 다시 터진 환율전쟁을 지나가는 바람으로 봐서는 안 되는 이유다.
- 김태윤 기자 kim.taeyun@joins.com관계기사>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아동성착취물 6개국 특별단속 435명 검거…“10대 57%, 가장 많아”
2 尹, 관저서 나경원 만났다…“어려운 시기에 고맙다”
39급 공무원 필기 응시율 또 떨어졌다…3년 새 ‘최저’
4 野 “韓대행, 대선일 신속히 공표해야”
5“은퇴 이후에도 취업 프리패스”…5060 몰리는 이 자격증은
6국민연금만 ‘月 543만원’ 받는다…‘역대급’ 수령한 부부 비결 봤더니
7“한국은 25%, 기본 10%”…트럼프발 전세계 ‘관세 폭탄’ 터졌다
8파면 이틀째 尹, 관저 퇴거는 언제...아크로비스타 복귀에 ‘관심’
9 "다시 윤석열" 전 국방부장관 김용현, 윤 전 대통령 파면에 옥중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