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T '스마트호출' 요금 인상 없던 일로…"이용자 부담 우려 수용"
대리운전 호출 중개업체 인수 등 문어발식 확장 비판 받아
‘독과점 횡포’ 여론에 국정감사 대상 포함까지 자초
카카오모빌리티가 카카오T 택시 ‘스마트호출’ 요금을 다시 내렸다. 카카오모빌리티(이하 카카오)는 지난 2일 스마트호출 요금 범위를 ‘0~2000원’에서 ‘0~5000원’으로 올렸었다. 택시호출이 몰리는 시간대와 지역에선 호출비만 3000원 더 받겠단 것이었다. 카카오는 13일 요금 범위를 ‘0~2000원’으로 다시 내리면서 “이용자 부담이 커질 수 있단 우려를 수용했다”고 밝혔다.
앞서 인상 시점을 두고 업계에선 “의아하다”는 반응이 많았다. 카카오가 인상 전날인 1일 대리운전 호출 중개업체 ‘코리아드라이브’를 사실상 인수하고, 3일엔 중·대형 화물 운송을 중개할 수 있는 면허를 인수하면서 ‘문어발식 확장’이란 비판을 받고 있었기 때문이다. 요금까지 올리게 되면 “독과점 사업자가 횡포를 부린다”는 말이 나올 수 있었다. 실제로 그랬다.
한 택시업계 관계자는 “택시기사 이탈을 막으려는 의도였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택시 호출 수의 80%를 카카오T가 차지하는 상황에서 이탈이 가능할까 싶지만, 이 관계자가 보는 상황은 카카오T에 마냥 호의적이진 않다.
카카오가 2015년 시장에 처음 뛰어들었을 때만 해도 기사들 반응은 호의적이었다고 한다. 도로를 돌아다니면서 승객을 잡는 ‘배회 영업’을 안 해도 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2018년 12월 카카오가 카풀 서비스 출시를 예고하면서 기사들 사이에서 반감이 생기기 시작했다. 방향이 같은 사람들이 차 한 대에 같이 타는 서비스다 보니, 택시 수입은 줄어들 가능성이 높았다. 당시 한 택시기사는 카풀 사업에 항의하며 분신까지 했다.
이 관계자는 “2018~2019년에 마카롱택시, 반반택시, T맵택시 등 경쟁 서비스가 잇따라 나온 건 기사들의 이런 반발심에 기댄 것이 없잖다”고 말했다. 또 직접적으론 지난 3월 월 9만9000원 유료 멤버십을 내놓은 것도 기사들의 반발을 샀다. 멤버십 기사에게 배차 혜택을 주겠단 내용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스마트호출 요금 인상은 카카오의 수익은 물론, 택시기사 여론까지 잡는 ‘열쇠’였을 법하다. 전체 택시 호출 중 많게는 80%를 차지한다는 밤 11시~새벽 1시 시간대 서울 도심지역은 전형적인 ‘수요초과 시장’이다. 요금을 올려도 호출이 줄지 않는단 뜻이다. 강제배차로 수입이 줄었던 기사 입장에선 요금제 상한 인상에 반대할 이유가 없다.
그러나 정작 일반 여론의 반발에 부딪히면서 요금제 인상은 없던 일이 됐다. 더불어민주당이 이번 일을 계기로 다음 달 국정감사에서 플랫폼 기업 관련 현안을 논의하겠다고 밝히면서 혹만 달게 됐다.
문상덕 기자 mun.sangdeo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전청조, 항소심서 감형..."끝까지 용서 구하겠다"
2'한국판 마블' 무빙, 시즌2 나온다..."제작 초기 단계"
3한미사이언스, "4인 공동출연 재단은 임시주총서 중립 지켜야"
4美 법무부, 구글에 '크롬' 강제 매각 요청...왜?
5정부, 취약계층 복지·일자리에 95조 썼다
6외국인 노동자 3만명 사용 신청 받는다...제조업 2만명 '최다'
7대출 조이자 아파트값 '뚝뚝'...서울은 35주 연속 상승
8기술력 입증한 바디프랜드, ‘CES 2025 혁신상’ 3개 제품 수상
9SK스퀘어, 2000억 자사주 소각 나선다..."주주환원 나설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