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장사 누가 더 잘했나…‘희망퇴직 타격’ 롯데 VS ‘보복소비 수혜’ 현대
롯데쇼핑, 희망퇴직 비용 600억 반영…영업익 감소
마트·슈퍼마켓 국민지원금 사용처 제외 영향도
현대백화점, 명품 소비 늘고 추석기간 판매 호조

국내 주요 백화점 업계 두 곳의 희비가 엇갈렸다. 롯데쇼핑은 최근 시행한 희망퇴직에 따른 비용 반영과 대형마트, SSM(기업형슈퍼마켓) 등이 재난지원금 사용처에서 제외된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줄어들었다. 반면 현대백화점은 더현대 서울 등 신규점 오픈 효과와 소비심리 회복 등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개선됐다.
4일 롯데쇼핑은 올해 3분기 매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 줄어든 4조66억원, 영업이익은 73.9% 감소한 289억3500만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현대백화점은 3분기 매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9.6% 늘어난 9248억원, 영업이익은 6.3% 증가한 475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7월과 8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백화점 업계는 큰 타격을 입었다. 현대백화점은 삼성동 소재의 무역센터점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하며 7월 5일에서 12일까지 임시 휴점한 바 있다.
하지만 9월부터 보복소비 효과로 명품 등 고가 상품 구매량이 늘었고 추석 명절 행사 상품 판매도 호조를 보이면서 매출이 정상화되기 시작했다. 이에 현대백화점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1%, 4.0% 늘어난 4954억원, 586억원을 기록했다. 면세점 부문은 7월 일시적인 영업 차질로 영업이익 113억원의 적자가 났지만 화장품 판매가 확대되면서 매출이 79% 성장한 4570억원을 기록했다.
업황 회복세에도 롯데쇼핑의 타격은 여전했다. 롯데쇼핑 백화점 부문의 매출액은 명품과 남성·스포츠 부문 매출 덕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9% 늘어난 6560억원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210억원 감소하며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희망퇴직 관련 비용 등 일회성 비용이 반영됐기 때문이다. 롯데백화점은 지난 9월 창사 42년 만에 처음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대상자 2000여명 중 25% 가량인 500여명이 신청했고, 여기에 든 비용이 600억원에 달한다고 업계는 추정하고 있다.
롯데쇼핑은 마트와 슈퍼의 매출·영업이익도 떨어졌다. 마트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4% 줄어든 1조4810억원, 영업이익은 50.5% 감소한 120억원을 기록했다. 롯데쇼핑은 지난 9월 전 국민의 약 88%에게 1인당 25만원씩 지급된 국민지원금 사용처에서 롯데마트와 슈퍼가 제외된 탓이라고 설명했다.

김채영 기자 kim.chaeyoung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아동성착취물 6개국 특별단속 435명 검거…“10대 57%, 가장 많아”
2 尹, 관저서 나경원 만났다…“어려운 시기에 고맙다”
39급 공무원 필기 응시율 또 떨어졌다…3년 새 ‘최저’
4 野 “韓대행, 대선일 신속히 공표해야”
5“은퇴 이후에도 취업 프리패스”…5060 몰리는 이 자격증은
6국민연금만 ‘月 543만원’ 받는다…‘역대급’ 수령한 부부 비결 봤더니
7“한국은 25%, 기본 10%”…트럼프발 전세계 ‘관세 폭탄’ 터졌다
8파면 이틀째 尹, 관저 퇴거는 언제...아크로비스타 복귀에 ‘관심’
9 "다시 윤석열" 전 국방부장관 김용현, 윤 전 대통령 파면에 옥중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