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지원금 덕? 3분기 서비스업생산 16개 시·도 일제히 증가
코로나19 두려움 사라졌나
"백신 접종 확대·소비심리 개선 등 영향"
15개 시·도 소매판매 증가, 울산만 감소

통계청은 ‘3분기 시·도 서비스업 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 보고서를 통해 3분기 서비스업 생산이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해 전국 16개 시·도에서 모두 증가했다고 11일 밝혔다. 지난 2분기에도 서비스업 생산은 전 지역에서 늘었다. 소비 심리가 살아나면서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경기가 살아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지역별로는 인천(4.7%)의 서비스업 생산이 가장 많이 증가했다. 운수·창고(13.9%), 부동산(16.7%), 보건·사회복지(5.1%), 사업시설 관리·사업지원·임대(5.0%) 등을 중심으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4.4%)을 비롯해 강원(4.3%), 서울(4.3%)도 증가세가 이어졌다. 울산(1.3%)과 대전(1.6%), 대구(1.7%) 등은 상대적으로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운수·창고, 보건·사회복지, 도소매 분야에서의 생산이 지역별 차이를 가져왔다. 부산에서 운수‧창고 생산은 11.6%, 보건·사회복지는 5.6%, 도소매는 4.8% 늘어난 반면 대구는 운수‧창고 1%, 도소매가 2.6% 증가하는 수준이었다.
부동산 생산도 지난해와 비교해 부산에서는 1.9% 감소하는 데 그쳤지만, 대구는 14.4% 줄면서 큰 차이를 보였다.
소매 판매도 전반적으로 호실적을 기록했다. 울산을 제외한 전국 15개 시·도에서 늘었다. 지역별로는 부산이 5.9% 증가했다. 전문소매점(10.5%), 승용차·연료소매점(9.4%) 등에서 판매가 늘었다.
서울(5.7%)과 대전(5.1%)도 좋은 성적을 나타냈다. 서울은 전문소매점(10.6%), 백화점(14.9%)을 중심으로 판매가 늘었다. 대전에서도 백화점 판매 증가율이 60.1%로 집계됐다.
소매 판매에서 유일하게 부진한 성적을 기록한 울산은 지난해보다 2.9%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승용차·연료소매점, 슈퍼·잡화·편의점 등에서 판매가 줄어든 탓이 영향을 미쳤다.
이민경 통계청 서비스업동향과장은 “백신 접종 확대, 국민지원금 지급 등의 영향으로 2분기 연속 서비스업 생산이 전국에서 증가했고 소매 판매도 좀 더 개선된 모습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병희 기자 yi.byeonghe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아동성착취물 6개국 특별단속 435명 검거…“10대 57%, 가장 많아”
2 尹, 관저서 나경원 만났다…“어려운 시기에 고맙다”
39급 공무원 필기 응시율 또 떨어졌다…3년 새 ‘최저’
4 野 “韓대행, 대선일 신속히 공표해야”
5“은퇴 이후에도 취업 프리패스”…5060 몰리는 이 자격증은
6국민연금만 ‘月 543만원’ 받는다…‘역대급’ 수령한 부부 비결 봤더니
7“한국은 25%, 기본 10%”…트럼프발 전세계 ‘관세 폭탄’ 터졌다
8파면 이틀째 尹, 관저 퇴거는 언제...아크로비스타 복귀에 ‘관심’
9 "다시 윤석열" 전 국방부장관 김용현, 윤 전 대통령 파면에 옥중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