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수출, 선박·정유·자동차·반도체 주목...원자재·유가 상승은 걸림돌
"수출, 내년 1분기 순조로운 출발"...화학·농수산물·가전제품은 '흐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수출산업경기전망 발표

한국 수출이 2022년에도 선박, 자동차, 반도체 등 주력 제품을 중심으로 순항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6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2022년 1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조사’에 따르면 내년 1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지수(EBSI)는 115.7로 지난 분기(106.0)보다 상승했다. EBSI가 100을 넘으면 향후 수출 여건이 지금보다 개선될 것으로 본다는 의미다. 이번 조사는 국내 1260개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품목별로는 선박(150.0), 석유제품(144.0),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142.4) 종목 수출이 가장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보고서는 세계 주요국의 ‘위드 코로나’ 정책 도입으로 글로벌 수입 수요가 증가하면서 한국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선박업종은 글로벌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LNG추진선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기술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국내 조선사들의 점유율 확대를 예상했다. 석유제품은 국제유가 상승과 이로 인해 높아진 수출단가가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은 차량용 반도체 수급 불균형 문제에도 미국과 EU 등 주요 수출국의 수요가 회복되면서 SUV·친환경차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반면 화학공업제품(76.5), 농수산물(79.5), 가전제품(87.6)은 올해 4분기보다 수출 환경이 악화될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화학공업제품은 글로벌 생산설비 증설에 따른 공급과잉과 더불어 최대 수요국인 중국의 자급률이 올라가면서 수요가 감소하는 이중고가 예고됐다.
기업들이 내년 1분기 수출 애로 요인으로 가장 많이 지목한 항목은 원재료 가격 상승(26.1%)과 물류비용 상승(25.8%)이었다. 연구원은 “최근 국제유가가 배럴당 80달러를 돌파하고 비철금속 종합 가격 지표인 런던금속거래소(LME)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기업들의 어려움이 심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상운임도 올 들어 가파르게 상승했다. 국내 수출 기업의 해상운임 바로미터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올해 1월 2870.34원에서 12월 들어 5000원선 밑까지 다다랐다.
도원빈 무역협회 연구원은 “우리 수출이 내년에도 계속 호조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수출 채산성 악화, 높은 해상 운임료, 오미크론 변이 확산 등은 리스크 요인”이라고 말했다.
김영은 기자 kim.yeonge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보스턴 펜웨이파크에 LG전자가 설치한 ‘초대형 LED’ 정체는?
2곤봉으로 유리창 ‘쾅’...尹 파면에 경찰버스 부순 남성 ‘구속’
3대구 산불 진화 중 헬기 추락…조종사 1명 사망
4기아, 다문화 청소년 위한 ‘하모니움’ 교육 프로그램 본격 가동
5티웨이항공, 유럽 항공권 프로모션 실시
6 대구 북구 산불 진화 헬기 추락
7 尹 "자유와 주권 수호를 싸운 여정, 역사로 기록될 것"
8“트럼프, 손 떼라”...美 전역서 ‘反트럼프 시위’ 열려
9머스크 “美·EU, 무관세 필요해”...‘관세 폭탄’ 트럼프와 ‘엇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