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제조업 강국' 옛말 "국내 제조업 취업자 5년간 18만명 감소"

일자리 해외유출 심화, 삼성전자·현대차 직원수만큼 줄어
韓 제조업 순위, 인도에 밀려 6위

 
 
전경련은 국내 제조업 취업자가 2016년 이후 매년 감소세를 보이는 것에 대해 선박 수주 급감에 따른 조선업종 구조조정과 자동차업종 구조조정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사진은 울산시 동구 시가지 너머로 보이는 현대중공업 조선소 전경.[연합뉴스]
 
최근 5년간 우리나라의 제조업 국내고용이 5년 전과 비교해 약 18만 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기준 삼성전자와 현대차의 국내 직원수를 합한 정도의 수준이다. 반면 같은 기간 해외 고용은 42만6000명(29.4%) 증가하며 일자리 해외 유출이 심화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경련은 한국을 비롯해 미국, 중국, 일본, 독일, 인도 등 세계 6대 제조업 강국의 최근 5년(2015~2019년) 제조업 지형(고용, 생산 등) 변화의 주요 특징과 국내 제조업 활성화를 위한 과제를 분석해 24일 발표했다.
 
국제노동기구(ILO) 자료에 따르면 2015년 대비 2019년 제조업 취업자수 증감을 보면 일본이 3.3%(34만 명) 증가했고, 독일은 3.3%(25만 명), 미국은 3.1%(49만 명) 늘었다. 반면 한국은 3.9%(18만 명) 줄었다.
 
전경련은 한국의 제조업 취업자가 2016년 이후 매년 감소세를 보이는 것에 대해 선박 수주 급감에 따른 조선업종 구조조정과 자동차 업종 구조조정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고용노동부 고용보험 가입자 통계에 따르면 2016년 1월 대비 2020년 1월 조선업종이 포함된 기타운송장비 취업자는 7만4000명, 자동차 업종은 1만4000명 감소했다.
 
반면 미국, 일본, 독일의 제조업 취업자 증가세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이들 나라가 자국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제조업 기반을 강화하고 해외로 나간 기업을 불러들이는 리쇼어링(Reshoring) 정책을 꾸준히 추진한 결과로 분석된다.
 
미국의 경우, 2010년 오바마 미 행정부가 ‘제조업 증강법’을 제정한 후 현 바이든 행정부의 ‘공급망 회복력 구축, 미국 제조업 활성화, 광범위한 성장 촉진’ 정책을 시행하는 등 제조업 경쟁력 강화 정책을 지속하고 있다.
 
해외 사업장을 둔 법인이 현지에서 인력을 고용하는 일이 늘어난 것도 국내 제조업 일자리가 감소한 또 다른 원인으로는 지목된다. 수출입은행과 일본 경제산업성, 중국 상무부 자료 등에 따르면 한국이 2015년 대비 2019년 제조업 해외법인 현지 고용 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미국은 해외투자법인의 현지 고용인원이 각각 4.9%(21만6000명), 0.2%(1만 명) 감소한 반면 한국의 해외투자법인 현지 고용 인원은 29.4%(42만6000명)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 제조업 비중, 中 2.1%P 오를 때 韓 0.2P 하락

우리나라의 전 세계 제조업 생산 비중도 축소된 것으로 조사됐다. UN 산업개발기구(UNIDO)의 세계 제조업 생산(World Manufacturing Production) 통계에 따르면 세계 제조업의 명목 생산액은 2011년 11조7200억 달러에서 2019년 13조9600억 달러로 연평균 2.2% 성장했는데, 한국은 0.2%포인트 하락했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 인도의 세계 제조업 생산 비중은 2.1%포인트, 0.4%포인트 상승했다.
 
전경련은 우리나라의 전 세계 제조업 비중이 하락한 것은 2019년 미‧중 무역 전쟁에 따른 수출 감소(전년 대비 10.4% 감소), 기업의 신규 설비투자 위축, 공장 해외이전, 자동차와 조선업종 구조조정 등의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했다. 이 때문에 한국의 전 세계 제조업 비중은 인도에 밀리며 5위에서 6위로 내려앉았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국내 제조업의 투자 여건이 악화하는 가운데 우리 제조업의 국내투자(한은 국민계정 제조업 총고정자본형성) 대비 해외투자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며 “우리 제조기업의 해외투자 확대가 국내 투자‧고용을 위축시키지 않도록 정부는 핵심기술 개발 및 제조업 국내투자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병희 기자 yi.byeonghe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신개념 여행박람회 ‘2024 올댓트래블’ 개막…볼거리 무궁무진

2“브레이크 밟았으나 딱딱했다”…시청역 피의자 ‘급발진’ 고수

3금감원, ‘뻥튀기 상장’ 파두 관련 SK하이닉스 2차 압수수색…“참고인 신분”

4 내일 22대 국회 개원식 무산…의장실 “일정 추후 확정”

5“토마토주스” 시청역 사고 조롱글에 경찰 “처벌 가능하다”

6호요버스, 기대작 ARPG ‘젠레스 존 제로’ 전 세계 정식 출시

7엔씨, 신작 ‘호연’ 7월 11일 쇼케이스 진행…BM·주요 콘텐츠 공개

8쿠팡이츠, 배달파트너 위해 생수 30만병 지원

9SPC삼립, 통곡물 브랜드 ‘로만밀’ 활용 ‘나쵸’ 2종 출시

실시간 뉴스

1신개념 여행박람회 ‘2024 올댓트래블’ 개막…볼거리 무궁무진

2“브레이크 밟았으나 딱딱했다”…시청역 피의자 ‘급발진’ 고수

3금감원, ‘뻥튀기 상장’ 파두 관련 SK하이닉스 2차 압수수색…“참고인 신분”

4 내일 22대 국회 개원식 무산…의장실 “일정 추후 확정”

5“토마토주스” 시청역 사고 조롱글에 경찰 “처벌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