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SK바이오사이언스 백신업계 노벨상 ‘박만훈상’ 첫 시상식

지난해 11월 SK바사·IVI 공동 제정

 
 
SK바이오사이언스가 후원하고 국제백신연구소가 주최하는 ‘박만훈상’ 시상식 모습. 왼쪽부터 프로데 솔버그 주한 노르웨이 대사, 반기문 전 UN 사무총장, 토어 고달 박사, 제롬 김 IVI 사무총장, 김훈 SK바이오사이언스 CTO.[사진 SK바이오사이언스]
SK바이오사이언스가 ‘박만훈상’의 첫 시상식을 열고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카탈린 카리코 교수와 드류 와이스만 교수, CEPI(전염병대비혁신연합)의 특별고문 토어 고달 박사 등 총 3명에 시상했다고 26일 밝혔다.
 
박만훈상은 국내 세포배양 백신의 선구자인 고(故) 박만훈 SK바이오사이언스 부회장의 업적을 기리고자 제정한 상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와 국제백신연구소(IVI)가 지난해 11월 공동 제정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와 IVI는 박만훈상을 ‘백신업계 노벨상’으로 만들겠다는 목표 아래 백신의 연구 개발 및 보급에 이바지한 국내외 인물 및 단체를 선정해 시상한다.
 
첫 수상자인 카리코 교수와 와이스만 교수는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에 쓰이는 mRNA(메신저 리보핵산) 기술 개발에 기여한 성과를 인정받았다. 고달 박사는 CEPI 설립에 기여하고, 현재는 고문으로서 팬데믹 예방을 위한 중저소득 국가 대상 백신 공급에 힘써온 공로를 높이 평가받았다.
 
카리코 교수는 영상 메시지를 통해 “mRNA 백신 기술의 성공은 혁신의 힘과 끈기의 중요성을 보여준다”며 “과학자로서 평생을 연구에 매진한 결과 수백만의 생명을 구하는 기술 개발에 기여해 기쁘다”고 소감을 전했다.
 
고달 박사는 “세계 보건 증진을 위해 힘쓰는 IVI와 백신 개발을 통해 인류를 지켜내는 SK바이오사이언스가 주최하는 박만훈상의 초대 수상자로 선정된 점에 대해 매우 영광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다린 기자 kim.dar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KB국민은행, KAI와 1조원 규모 상생협력 MOU 체결

2의대 쓸어담고 美 명문대도 휩쓴 고등학교, 어디?

3트럼프, 반도체 관세 ‘밀당’…“14일에 말하겠다”

4 유승민, 대선경선 불참키로…“국민의힘, 변화의 길 거부”

5“버티다 결국 접었다”…자영업자 1.4만명 사라져

6 김경수, 대선 출마 공식 선언 “행정수도 세종 완성할 것”

7제주에 ‘폭싹’ 빠진 대만…관광객 1년 새 2.3배 급증

8하나금융, ‘ESG 공시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

9청년 전세대출로 21억 ‘꿀꺽’…사기 일당 줄줄이 징역형

실시간 뉴스

1KB국민은행, KAI와 1조원 규모 상생협력 MOU 체결

2의대 쓸어담고 美 명문대도 휩쓴 고등학교, 어디?

3트럼프, 반도체 관세 ‘밀당’…“14일에 말하겠다”

4 유승민, 대선경선 불참키로…“국민의힘, 변화의 길 거부”

5“버티다 결국 접었다”…자영업자 1.4만명 사라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