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신차 준비하는 르노코리아... "부품 국산화율 QM6 이상으로"
르노-길리 합작 하이브리드 신차 2024년 출시
"60% 수준인 QM6 부품 국산화율 넘어설 것"

르노코리아가 현재 준비 중인 친환경 신차는 르노그룹 및 길리홀딩그룹과 함께 한국 시장을 위해 선보이는 하이브리드 합작 모델이다. 길리그룹의 스웨덴 R&D 센터에서 개발한 CMA 플랫폼과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르노코리아 국내 연구진들은 국내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도록 첨단 기능을 탑재한 새로운 제품으로 개발해 선보일 예정이다.
최근 길리 오토모빌 홀딩스가 르노코리아 지분 34.02% 참여를 발표한 가운데, 이번 부품 국산화율 60% 이상 목표는 신차와 관련해 가장 먼저 공개된 내용이다. 현재 부산공장에서 생산 중인 모델 중 국내에서 생산한 부품의 적용률이 가장 높은 모델은 60% 수준인 QM6다.
르노코리아 협력업체들도 이번 CMA 플랫폼 기반 신차의 부품 개발에 높은 자신감을 갖고 있다. 과거 북미 수출용 닛산 로그와 르노그룹 글로벌 신차들의 부품 개발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르노코리아협력업체협의회 대표를 맡고 있는 나기성 신흥기공 회장은 "르노코리아와 협력업체는 2020년 3월 닛산 로그 수출 종료 후 많은 위기를 겪었지만, XM3의 유럽 수출 성공으로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며 "2024년 신차 개발도 르노코리아와 협력업체가 함께 한다면 국산화율 목표 달성이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지완 기자 lee.jiwan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2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3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4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5“4월이 분수령”…3월 가계대출 4000억원 증가에 그쳐
6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 영입…삼성종기원 출신
7SK에코플랜트, 반도체 기술 가진 스타트업 찾는다
8EV·픽업·자율주행…기아, 다각화 전략으로 미래차 선도
9하이브 방시혁, 3개월 만에 주식 5000억원 늘었다...총수 주식 살펴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