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물가 더 오를 듯” 5월 기대인플레 3.3%…9년 7개월 來 최고

금리수준전망 ‘최고’·주택가격전망 ‘오락가락’
소비자심리지수 3개월만에 내림세

 
 
[연합뉴스]
올해 5월 소비자가 예상하는 향후 1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이 또 올라 9년 7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금리수준전망지수도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고, 부동산 규제 완화 기대에 지난달 10포인트나 뛴 주택가격전망지수는 공급 증가 예상 등으로 하락 전환했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5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3%로 집계됐다. 4월(3.1%)보다 0.2%포인트 올랐을 뿐 아니라 2012년 10월(3.3%) 이후 9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기록이다.
 
소비자가 지난 1년간 주관적으로 체감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의미하는 ‘물가인식’(3.4%)도 역시 한 달 사이 0.2%포인트 높아졌다. 2013년 1월(3.4%) 이래 9년 4개월 만 최고 기록이다.
 
금리수준전망지수(146)도 역대 기록을 세웠다. “6개월 후 금리가 지금보다 오를 것”이라고 대답한 사람이 하락을 예상한 사람보다 많으면 이 지수는 100을 웃돈다. 해당 지수는 4월 141에서 5월 146으로 5포인트나 오르며 상승 전망의 비중이 더 커졌음을 시사했다. 
 

물가상황에 대한 인식 CSI. [사진 한국은행]
하지만 주택가격전망지수(111)는 1개월 사이 3포인트 낮아졌다. 1년 뒤 집값 상승을 점치는 소비자의 비중이 다소 줄었다는 뜻이다. 올해 들어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월 100 ▶2월 97 ▶3월 104 ▶4월 114 등을 나타내며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5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2.6으로 4월(103.8)보다 1.2포인트 떨어지며 3개월 만에 내림세로 돌아섰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가운데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100보다 높으면 장기평균(2003∼2021년)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낙관적이라는 뜻이다.
 
지난 4월과 비교해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수 가운데 현재생활형편(89)과 향후경기전망(84) 모두 3포인트 씩 떨어졌다. 생활형편전망(93)과 가계수입전망(98)은 각각 1포인트 씩 하락했다. 
 

반면 소비지출전망(116) 지수는 2포인트 올랐고, 현재경기판단(74) 지수에는 변화가 없었다. 이번 조사는 이달 10∼17일 전국 2500가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김윤주 기자 kim.yoonju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흑백요리사' 셰프마저…파인다이닝 "월급 300만원도 힘들어"

2"정보 미리 알았나?"…트럼프 측근 의원의 수상한 투자 타이밍

3동아에스티 자회사 메타비아, 비만 치료제 1상 일부 결과 수령

45400만원 '버킨백' 中 공장선 얼마?…'원가 폭로'에 美 발칵

5대신증권, 시니어 고객 대상 ‘대체거래소 교육’ 실시

6신한투자증권, 시니어 PB `마이스터클럽` 신설

7‘캠프요리축제 심사위원’ 셰프 서진영 “만능 엔터테이너 될래요”

8이은미 토스뱅크 대표 “최초 넘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은행 되겠다”

9"새 노선도 어때요?" 서울지하철 호선별 노선도, 40년 만에 변경

실시간 뉴스

1'흑백요리사' 셰프마저…파인다이닝 "월급 300만원도 힘들어"

2"정보 미리 알았나?"…트럼프 측근 의원의 수상한 투자 타이밍

3동아에스티 자회사 메타비아, 비만 치료제 1상 일부 결과 수령

45400만원 '버킨백' 中 공장선 얼마?…'원가 폭로'에 美 발칵

5대신증권, 시니어 고객 대상 ‘대체거래소 교육’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