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상생 프로젝트 ‘우리동네 단골시장’ 전국으로 확대
전통시장에 디지털 서비스 활용 교육 및 지원 제공

카카오는 5년간 총 3000억원의 기금을 활용할 카카오 공동체의 상생 방안 중 하나로 ‘소신상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소신 있게 사업을 운영하는 전국의 상인이 카카오톡 채널로 단골을 확보하고 다양한 모바일 마케팅을 펼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젝트다.
이번에 전국으로 확대하는 ‘우리동네 단골시장’은 소신상인 프로젝트의 일부다. 온라인 지식 교육 플랫폼 MKYU와 함께 전통시장 상인이 카카오톡 채널을 이용해 단골손님을 만들고 소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전통시장 내에 상주하는 MKYU의 디지털튜터가 온라인 고객 서비스 대응, 스마트채팅 활용 방법 등 상인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다양한 교육을 진행한다. 교육에 참여한 상인에게는 카카오톡 채널 메시지 비용을 지원하는 ‘단골시장 운영키트’를 제공한다. 지난 6월 프로젝트의 첫발로 서울시 양천구의 신영시장을 선정했고, 이번에 전국 10개 전통시장으로 대상을 확대한다.
참여를 원하는 전통시장은 9월 13일까지 보름간 우리동네 단골시장 캠페인 웹사이트 내 ‘시장 모집’ 메뉴에서 지원에 필요한 서류를 다운받아 작성 후 이메일을 보내면 된다. 카카오 임팩트는 심사 과정을 거쳐 오는 10월 중 10개 전통 시장을 선정해 발표할 계획이다.
육심나 카카오 ESG 사업실장은 “소신으로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전국의 전통시장 상인이 디지털을 활용해 성공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를 전국으로 확대한다”며 “카카오가 가진 기술적 역량을 활용해 소신상인들의 우수한 상품과 자부심을 널리 알릴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다린 기자 quill@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티아라 효민, 품절녀 대열 합류…♥남편 정체는
2인천공항 제2터미널서 ‘실탄 4발’ 발견...경찰 수사 착수
3보아, 술 마시며 방송하다 스킨십…상대 남성 정체는
4선관위 등 공공영역 채용 비리, 해답은 국가채용원이다
5소프트 AI 시대, 투자 접근은 어떻게 해야 할까
6지식 노동도 기계로 대체되는 시대?...AI에이전트와의 불편한 동행
7제1166회 로또 1등 '14, 23, 25, 27, 29, 42'… 보너스 '16'
8 경찰, 서울 '을호비상' 해제…'경계강화'로 조정
9“감정이 ‘롤러코스터’ 탄다”…조증과 울증 사이 ‘양극성 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