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금리 인상 여파에 서울 아파트 중위 전세가 6억원 밑으로

서울 아파트 중위 전세값 5억9966만원
연립주택 전세도 하락세, 단독주택은 상승

 
 
서울 시내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붙어 있는 전세 매물 정보. [연합뉴스]
 
최근 연이은 금인 인상 여파에 서울 아파트 중위 전세가격이 6억원 이하로 내려갔다.  
 
25일 KB국민은행의 월간 시계열에 따르면 이달 서울 아파트 중위 전세가격은 5억9966만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2월(5억9739만원) 이후 1년 8개월 만에 처음 6억원 밑으로 떨어졌다.
 
중위가격(중앙가격)은 조사 표본을 가격순으로 나열했을 때 가장 중앙에 위치한 가격이다. 평균가격이 저가주택 또는 고가주택의 가격 변동폭에 크게 좌우되는 것과 달리 중위가격은 순수하게 정중앙의 가격만 따지기 때문에 시세 흐름을 판단하는 데 적합하다.
 
서울 아파트 중위 전세가격은 국민은행 기준으로 지난해 2월 사상 처음 6억원을 돌파한 이후 작년 9월에는 6억2680만원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지난해 10월 전세자금대출 중단 사태로 6억2116만원으로 하락한 뒤 소폭의 등락을 거듭하다 이달 들어 전월 대비 1.14% 하락하며 6억원 밑으로 내려왔다.
 
이달 한국은행이 빅스텝(한번에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단행하는 등 금리 인상 폭이 가팔라지면서 신규 전셋값은 약세가 지속되고 있다.  
 
중위 전세가격 낙폭은 강북보다 강남 아파트가 컸다. 강북 14개구 아파트의 중위가격은 5억3188만원으로, 지난달(5억3437만원)보다 0.47% 하락한 데 비해 강남 11개구는 6억8755만원에서 6억7675만원으로 1.57% 떨어졌다.  
 
아파트 외에 서울 연립주택 중위 전세가격은 2억3179만원으로 지난달(2억3187만원)보다 0.03% 하락했다. 반면 단독주택 중위전세는 3억3763만원으로 지난달(3억3355만원)보다 1.22% 상승했다.
 
한편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은 중위가격보다 높은 6억6386만원을 기록하며, 9월(6억7344만원)보다 1.42% 떨어졌다.
 
전셋값 하락과 달리 전월세 전환율(전세 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연 환산이율)은 4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대출금리가 계속 오르면서 인상된 전세 보증금을 월세로 돌리려는 수요가 늘어난 때문이다.
 
국민은행 조사 기준으로 이달 서울 아파트 전월세 전환율은 평균 3.28%로, 9월(3.24%)보다 0.04%포인트(p) 상승했다. 이는 작년 4월(3.29%) 이후 1년반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이달 강북 14개구의 전월세 전환율은 3.32%로 강남 11개구(3.25%)보다 높았다.

이승훈 기자 wavele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수협은행, 방카 전문가 그룹 브랜드 ‘Sh Summit One’ 출범

2“화끈하고 고소해”...오뚜기, ‘열치즈라면’ 용기면 출시

3“뚜레쥬르 맞아?” 압구정에 신규 콘셉트 매장 2호점 오픈

4광화문·한강서 무심코 '이 행동' 했다간 과태료 100만원

5‘홈플러스 사태’ 피해구제안 없는 MBK...곳곳서 파열음 지속

6반려동물 수명연구에 속도… 英 생명과학기업 로얄하운드, 2억3000만 달러 투입

7코스피, 1년 5개월 만에 2300선 붕괴…외인 또 '셀 코리아'

8‘0.1초의 승부사’ 손이천 수석경매사가 말하는 ‘미술품 경매’

9신한은행, 대한법무사협회와 ‘맞손’...“외국인 투자기업에 금융 솔루션 제시”

실시간 뉴스

1수협은행, 방카 전문가 그룹 브랜드 ‘Sh Summit One’ 출범

2“화끈하고 고소해”...오뚜기, ‘열치즈라면’ 용기면 출시

3“뚜레쥬르 맞아?” 압구정에 신규 콘셉트 매장 2호점 오픈

4광화문·한강서 무심코 '이 행동' 했다간 과태료 100만원

5‘홈플러스 사태’ 피해구제안 없는 MBK...곳곳서 파열음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