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3구역, LH 공공재개발 후보지에 선정
1882가구서 244가구 늘어난 2126가구 대단지로

경기도는 지난달 24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공공재개발 후보지 공모 결과 광명3구역을 사업 후보지로 선정했다고 8일 밝혔다.
광명3구역은 부지 면적 9만4691㎡에 공공재개발을 통해 기존 1882가구에서 2126가구로 244가구 늘어날 예정이다. 예비 사업시행자인 LH는 후보지 주민들을 대상으로 현장 설명회를 열고 의견을 수렴해 정비계획을 수립하고 공공시행자 지정동의 절차를 진행할 방침이다.
공공재개발은 노후도 등 정비구역 요건을 갖춘 지역에 LH, 경기도시주택공사(GH)와 같은 공적 기관이 참여하는 재개발사업이다. 조합이 추진하는 민간재개발은 조합원 간 의사결정 과정에서 갈등이나 소송이 생기면서 사업 기간이 늘어나 구역 지정부터 착공까지 평균 12년이 소요된다.
하지만 공공재개발은 용적률 등 도시규제 완화, 절차 간소화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해 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광명3구역은 지난해 추진한 민간제한 통합공모에서 공공재개발 사업 추진을 희망했으나 구역계 부정형 등의 이유로 공공재개발 후보지 보류 판정을 받았다.
하지만 노후도가 70%에 달하는 등 주민들의 지역 개발 의지가 커 관계기관·주민들과 협의를 통해 이번에 공공재개발 후보지에 들어갔다.
경기도는 해당 지역의 투기 방지를 위해 11월 8일을 권리 산정 기준일로 고시했다. ‘권리 산정 기준’일 이후 ▶토지분할 ▶단독주택을 다세대주택으로 전환 ▶하나의 대지에 속한 동일인 소유의 토지와 건축물을 분리해 소유 ▶나대지에 공동주택 건축 등으로 소유권을 취득하면 분양신청권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투기를 예방할 수 있다.
박지윤 기자 jypark92@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정부, 대선 6월 3일로 잠정 결정…내일 국무회의서 확정
2 거래소, 코스피 매도 사이드카 발동…8개월 만
3과천펜타원, 강남 접근성 갖춘 대규모 지식산업센터 본격 분양 돌입
4"성수 신축 국평 30억 넘었다"…한 달 새 5억원 넘게 올라
5윤성에프앤씨, 롯데바이오로직스의 '하이지닉 프로세스 파이핑' 프로젝트 수주
6‘인구경영’ 기업 생존을 위한 필수 인사 전략
7기업들 채용 줄이고 신입보다 경력직 선호…청년들은 “그냥 쉬었다”
8 민주 44.8%, 국힘 35.7% 오차 범위 밖 앞서... 정권교체 56.9%, 연장 37.0%
9 트럼프 “중국과의 무역적자 해결 안되면 中과 협상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