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가계소비 2.4% 감소 전망”…고물가‧소득감소 우려
전경련, 2023년 국민 소비지출 계획 조사
응답자 56.2% “올해보다 소비 줄일 것”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만 18세 이상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2023년 국민 소비지출 계획’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6.2%는 내년 소비지출을 올해보다 줄일 계획이라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이에 따라 내년 가계 소비지출은 올해보다 평균 2.4%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소득분위별로는 상위 20%인 소득 5분위만 소비지출이 증가(0.8%)하고 나머지 소득 1~4분위(하위 80%)는 모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1~4분위에서는 소득이 낮을수록 소비지출 감소폭이 더욱 클수 있다는 전망이다. 내년도 소비지출 전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소득 1분위 -6.5% ▶2분위 -3.1% ▶3분위 -2.0% ▶4분위 -0.8% ▶5분위 +0.8%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소득이 낮을수록 고물가와 경기침체에 따른 고용 및 소득감소 영향을 많이 받아 소비 여력이 줄어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내년 소비지출 줄이려는 가장 큰 이유로는 물가 상승(43.9%)이 꼽혔다. 실직·소득 감소 우려(13.5%), 세금·공과금 부담(10.4%), 채무(대출 원리금 등) 상환 부담(10.3%) 등이 뒤를 이었다. 품목별로는 여행·외식·숙박(21.0%), 내구재(15.4%), 여가·문화생활(15.0%) 등의 소비를 줄이겠다고 답했다.
반면 음식료품(26.6%), 주거비(전·월세 및 전기·가스 등)(20.9%), 생필품(12.7%) 등 필수소비재는 소비가 늘어날 전망이다. 이는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지출을 줄이기 어려운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전경련은 이런 조사를 토대로 내년에는 국민이 본격적인 경기침체에 대비해 꼭 필요한 소비를 제외하고는 허리띠를 졸라맬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내년 소비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는 물가 상승세 지속(46.0%), 금리 인상(27.0%), 세금·공과금 부담 증가(11.9%), 부동산·주식 등 자산시장 위축(8.9%) 등이 지적됐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고물가‧고금리 상황이 지속하는 상황에서, 내년에 1%대의 저성장이 현실화될 경우, 가계의 소비 펀더멘털이 악화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병희 기자 leoybh@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헌법재판관 8명 전원 출근...2시간 후 '대한민국 운명 갈린다'
2“고효능·고감도 뷰티 브랜드 총출동”…29CM, ‘이구뷰티위크’ 대형 기획전 개최
3캐나다 "美 자동차에 25% 보복관세 부과할 것"…공동 대응 촉구
4美에 바둑판 짜는 정의선...‘포석’ 깔고 ‘집’ 짓는 현대차그룹
5뉴욕증시, 美 상호관세 충격에 팬데믹 이후 최악…나스닥 6%↓
6뉴욕유가, 트럼프 관세 폭탄에 경기침체 우려로 급락…WTI 6.6%↓
7“삼성, 中 연 매출만 64조원”...이재용, ‘가전→전장’ 공략으로 새 中드라이브
8만원대 청바지로 홀렸다...이랜드 패션 야심작 'NC베이직' 초반 순항
9챗GPT의 '지브리 그림체' 유행이 씁쓸한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