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포스트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일본 3상 첫 환자 투약”
경증·중등증 무릎 골관절염 환자 대상
52주간 추적 관찰…안전성·유효성 평가

메디포스트에 따르면 카티스템은 일본의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PMDA)로부터 국내 임상 결과를 인정받아 일본에서 바로 임상 3상에 진입했다. 이번 임상은 K&L 등급이 2~3등급인 경증 및 중등증의 무릎 골관절염 환자 13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K&L 등급은 무릎 골관절염 증상을 등급으로 구분한 것이다. 연골이 닳아 무릎뼈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등급이 높다.
임상 3상에서는 임상 참여자를 두 그룹으로 나눠 카티스템과 히알루론산 주사제를 각각 투약할 예정이다. 이후 임상 참여자를 52주간 추적 관찰하며 관절의 기능 개선과 통증 완화, 손상된 무릎 연골의 재생 등을 비교할 계획이다.
메디포스트는 목표한 임상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한국의 수술 경험을 일본의 의료진에게 전수할 것이라고 했다. 카티스템은 수술을 집도하는 의료진의 숙련도가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앞서 회사는 일본 내 임상 병원의 의료진을 국내로 초청해 카티스템 수술을 참관하도록 했다. 일본에서 카티스템 심포지엄을 열고 일본 의료진에게 수술 기법을 교육해 이들이 카티스템 수술의 숙련도를 키우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일본에서 카티스템을 상업화할 때를 대비해 사전 마케팅 효과도 거두겠다는 구상이다.
메디포스트 관계자는 “카티스템은 세계 최초의 동종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 치료제”라며 “기존 관절염 치료제가 통증을 완화하거나 기능을 일시적으로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과 달리 카티스템은 염증을 억제하고 손상된 연골 조직을 자연 상태의 연골로 재생시키는 근본적인 치료제”라고 했다.
그러면서 “카티스템은 국내에서 2012년 품목허가를 받은 이후 2만5000건의 수술 사례와 누적 매출 1000억원 이상을 기록했다”며 “안전성뿐 아니라 장기 유효성과 경제성이 입증된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라고 강조했다. 또한 “일본에서 진행하고 있는 임상 3상에서도 좋은 결과를 내 글로벌 진출의 초석을 다지겠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서울시, 옛 국립보건원 부지 매각 절차 본격 나선다
2법원 도착한 尹 대통령, '내란 혐의' 첫 형사재판… 오후 헌재 변론
3 尹, 서울중앙지법 도착… 곧 구속취소 심문 출석
4신규채용 비중 6년 만 최저 기록…제조업은 20% 첫붕괴
5롯데마트, 취약계층 식사 지원...임직원 끝전 기부
6멕시카나치킨, 수익성 중심의 안심 창업… ‘돈 되는 상권, 준비된 점주’와 함께
7코빗 리서치센터, ‘기관 자금 동향: 정책 변화가 가져온 시장 재편’ 보고서 발간
8코인원, 설립 11주년 ‘성장 그리고 현재’ 공개
9 ‘창립 60주년’ 농심, 추억의 감자칩 다시 소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