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태승 우리금융 회장 “금융권의 세대교체 흐름에 동참하겠다”
입장문 통해 “능력 있는 후임 회장 선임 기대한다”
당국 압박에 결국 용퇴 결정
후임으로 이원덕 우리은행장 유력 후보로 부상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손 회장은 이 같은 입장을 전하며 “앞으로 이사회 임추위에서 완전 민영화의 가치를 바탕으로 그룹의 발전을 이뤄갈 능력 있는 후임 회장을 선임해주시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그는 “그동안 우리금융을 사랑해주신 고객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향후 우리금융이 금융시장 불안 등 대내외 위기 극복에 일조하고 금융산업 발전에도 더 큰 기여를 할 수 있도록 많은 성원을 부탁한다”고 덧붙였다.
손 회장은 이날 오전 오전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에 용퇴 의사를 전달했다.
기존에는 당국의 라임 펀드 관련 문책경고 상당의 중징계에 손 회장이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 및 행정소송에 나서면서 연임에 도전할 것이란 분석이 많았다. 하지만 이후 나온 당국의 수장들이 최고경영자(CEO) 책임이 중하다는 의견을 내놓은 것이 부담이 됐다는 분석이다.
손 회장 임기는 오는 3월 25일 만료된다. 임추위는 이날 서울 모처에 모여 1차 후보군(롱리스트)를 결정할 예정이다. 오는 27일 회의에서 최종후보(숏리스트)를 확정할 예정이다. 통상 3월 말 열리는 주주총회 일정을 맞춰야 하는 만큼 임추위는 늦어도 2월 중에는 차기 회장 내정자를 확정할 계획이다.
차기 회장에는 이원덕 우리은행장, 박화재 우리금융지주 사장, 권광석 전 우리은행장, 남기명 전 우리은행 부문장, 정원재 전 우리카드 사장 등 전현직 내부 인사들이 거론되고 있다. 외부 출신으로는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 조준희 전 기업은행장 등이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다만 은행권은 외부 출신이 오기는 어렵다고 보고 있다. 이미 당국 관계자들이 수장 교체에 의견을 내놓으며 관치 논란이 커졌는데, 민영화를 이룬 우리금융에 친정부 인사가 올 경우 관치 논란은 거셀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이원덕 현 우리은행장이 유력한 차기 회장으로 거론되고 있다. 과점주주 추천 사외이사들도 내부의 빠른 안정화를 위해 손 회장 용퇴와 함께 이 행장의 회장 추천을 내부적으로 검토 및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롯데관광개발, 소방공무원 위한 크루즈 여행 지원한다
2"별장 쉽게 가려고"…포르셰 회장, 산 뚫어 '개인용 터널' 만들려다 '들통'
3세모통, 헬로모바일과 손잡고 알뜰폰 시장 공략 강화
4"SKT, AI 넘어 양자사업까지 확장한다"...美 IonQ와 협력 논의
5한화에어로, 3.6→2.3조 유증도 '제동'…금감원 "2차 정정요구"
6트럼프 지지율, 가파르게 추락…100일도 안돼 '역대 최저치'
7일본에서 난리났다...무신사, K-패션 성공 가능성 입증
8“식료품 맛집”...이마트, 푸드마켓 고덕점 오픈
9이창용 한은 총재 “美 관세에 통화정책 ‘어두운 터널’”(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