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타이어, 지난해 영업익 7057억원...전년比 9.9%↑
신차용 타이어 공급 증가, 역대 최고 매출액 8조3942억원
고인치 승용차용 타이어 비중 전년 대비 3.1%p 오른 40.8%

한국타이어는 지난해(2022년) 글로벌 연결 경영실적 기준 역대 최고 매출액인 8조3942억원을 기록했다고 2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17.5% 늘어난 수치다. 영업이익은 7057억원으로 전년 대비 9.9% 증가했다.
한국타이어는 “지난해 상반기 원자재 가격 상승, 글로벌 물류대란 등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 확대 및 효과적인 가격 전략 등을 통해 성장의 기반을 다졌다”면서 “하반기 원자재 및 선임 비용 안정화와 더불어 우호적인 환율 상황, 글로벌 주요 시장 신차용 타이어 공급 증가 등에 힘입어 역대 최고 매출을 달성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고부가가치 제품인 18인치 이상 고인치 승용차용 타이어 판매 비중이 40.8%를 차지, 전년 대비 3.1%포인트(p) 상승하며 프리미엄 브랜드로서의 질적 성장을 계속했다. 전기차 신차용 타이어 시장에서는 BMW, 아우디, 현대차, 토요타, 스코다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의 신규 전기차 모델에 타이어 공급을 성사시키며 입지를 강화했다.
지난해 4분기 기준으로는 매출액 2조2638억원, 영업이익 212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9.9%, 140.1% 성장한 것이다. 18인치 이상 고인치 승용차용 타이어 판매 비중은 43.9%로 전년 동기 대비 5.0%p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한국이 53.5%로 5.7%p, 중국은 58.8%로 12.4%p, 유럽은 32.5%로 3.4%p, 북미는 51.9%로 2.5%p 상승했다.
다만,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소비심리 둔화 등 영향으로 교체용 타이어(RET) 수요는 전년 대비 소폭 둔화했다. 한국공장(대전 및 금산공장)의 수익성 회복도 여전히 아쉬운 상황이다. 한국공장은 2021년 연간 적자 이후 지난해에도 민주노총 금속노조 한국타이어지회의 게릴라성 파업 등 영향으로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한국타이어는 올해 매출액 전년 대비 5% 이상 성장, 18인치 이상 고인치 승용차용 타이어 판매 비중 45% 달성, 승용 및 경트럭용 타이어의 신차용 타이어 공급 중 전기차 모델 공급 비중 20% 수준으로 개선 등을 목표로 세웠다. 이를 위해 주요 시장 타이어 판매 확대, 프리미엄 완성차 파트너십 강화, 전기차 시장 선점 등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맨 평균 연봉, 얼마일까?"...지난해 7% 올라 ‘억 소리’
2데이원컴퍼니‧아이지넷 주가 하락 지속…환매청구권 부담 커지나
3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 신임 협회장 추대
4“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
5트럼프의 ‘심야 트윗’에 잠 못 드는 미국·유럽 투자자들, 왜?
6재무상담 원하는 MZ 세대 주목…예산 5억원 투입
7“삼겹살이 890원?”...오픈 직후 사람들 몰렸다
8에어비앤비 공동 창업자, LA 산불 피해 주민에 조립식 주택 기부
9현대차 제일 잘 파는 사람, ‘대전’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