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한국인은 롤렉스를 좋아해?”…5년간 ‘짝퉁’ 명품 수입 2조 넘었다

지난해 적발 규모, 전년比 2.4배 급증
롤렉스, 루이뷔통 제치고 적발 1위

지난해 7월 7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특별시민생사법경찰단에서 관계자들이 올해 상반기 압수한 명품 의류, 액세서리 위조 상품을 진열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최근 5년간 해외에서 수입된 ‘짝퉁’ 명품 규모가 2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중에선 대표적인 시계 브랜드 롤렉스가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11일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관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2022년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오다가 세관 당국에 적발된 지식재산권 위반 물품 규모는 2조2405억원(7250건·시가 기준)이었다. 상표 등을 허위 표시한 이른바 ‘짝퉁’ 규모가 2조원을 넘어선 것이다. 특히 지난해 적발 규모는 5639억원으로 2021년(2339억원) 대비 141.1% 급증했다.

브랜드별로 보면 시계 브랜드 롤렉스가 5년간 3065억원어치가 적발돼 가장 많았다. 지난해 짝퉁 롤렉스가 1219억원어치 적발되면서 루이뷔통을 넘어 1위로 올라섰다고 양 의원은 설명했다. 이어 루이뷔통(2197억원), 샤넬(974억원), 버버리(835억원) 등의 유명 명품 브랜드도 다수 적발됐다.

상품 수입국별로 보면 5년간 중국에서 온 물품이 1조9210억원(85.7%)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일본(307억원), 홍콩(120억원), 미국(95억원), 베트남(30억원) 등에서도 많은 짝퉁 명품이 유입됐다.

품목별로는 시계가 9201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가방(6222억원), 의류 직물(2218억원), 신발(923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시계·가방·의류 직물이 5년간 전체 지식재산권 위반 물품 액수의 78.7%(1조7641억원)를 차지했다.

양경숙 의원은 “명품 소비가 많아지는 만큼 짝퉁 시장도 급성장하고 있다”며 “적발된 국내 반입 지식재산권 물품 규모가 1년 만에 2배로 급증한 만큼 관세 당국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농구 선수 허웅, 전 여자친구 고소 “협박·스토킹…마약 연루도”

2택배 기사님 “아파트 들어오려면 1년에 5만원 내세요”

3“응애” 소리 늘까…4월 출생아 수, 전년 동월 대비 증가

4책 사이에 숨긴 화려한 우표…알고 보니 ‘신종 마약’

5경북도, K-국방용 반도체 국산화 위해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6영천시, 베트남 대형 유통업체 K-MARKET과 "농특산물 수출 확대" 협약 맺어

7대구시, 경기 화성 배터리공장 화재피해 복구 지원에 1억원 지원

8소방당국, 아리셀에 ‘화재 경고’…‘예방컨설팅’까지 했다

9최태원 동거인 첫 언론 인터뷰 “언젠가 궁금한 모든 이야기 나눌 수 있을 것”

실시간 뉴스

1농구 선수 허웅, 전 여자친구 고소 “협박·스토킹…마약 연루도”

2택배 기사님 “아파트 들어오려면 1년에 5만원 내세요”

3“응애” 소리 늘까…4월 출생아 수, 전년 동월 대비 증가

4책 사이에 숨긴 화려한 우표…알고 보니 ‘신종 마약’

5경북도, K-국방용 반도체 국산화 위해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