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적금 인기 ‘시들’…12월 예적금 증가, 절반으로 ‘뚝’
12월 정기 예적금에 31.6조 몰려…전월 대비 절반 수준
예적금으로 뭉칫돈 이동했지만 증가세는 약해져
M1은 6개월 연속 감소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12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정기 예적금은 전월 대비 31조6000억원 증가했다. 10월 증가 규모는 45조9000억원, 11월은 58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12월 증가액이 전월보다 45.9%나 줄어든 셈이다.
12월 시중통화량 평균잔액은 광의통화(M2) 기준 3779조원으로 전월 대비 6조3000억원(0.7%) 감소해 9개월 만에 감소 전환했다.
M2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등 협의통화(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등 금융상품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통화 지표다.

경제 주체별로 보면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번 돈을 정기 예적금을 중심으로 11조1000억원 예치했고, 기업 등은 주로 금전신탁을 줄이면서 18조9000억원 감소했다.
은행의 정기 예적금에 들어오는 자금 규모가 준 것은 최근 시장금리가 떨어지면서 예적금 금리가 인하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안전자산으로의 자금 쏠림이 올해 심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다.
한은이 발표한 ‘2023년 1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올해 1월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전월보다 9000억원 감소했고, 수시입출식 자금은 59조5000억원 줄었다.
단기자금 지표인 협의통화(M1)는 지난해 12월 기준 1231조4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2.7%(29조9000억원) 감소해 6개월 연속 줄었다. 한은은 결제성 예금이 감소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M1은 은행의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저축성예금 등 언제든 현금화가 가능해 높은 수익률을 좇아 움직이기 쉬운 자금을 의미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박정희 모가지 따러' 김신조, 역사 뒤안길로…향년 83세
2허윤홍 GS건설 대표 “AI는 피할 수 없는 물결, 생존의 문제와 직결”
3337조원 썼지만 부족하다…한국 복지지출, OECD 평균의 69%
4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 이어 희망퇴직 실시
5코스피 2300선 붕괴…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6“4월이 분수령”…3월 가계대출 4000억원 증가에 그쳐
7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 영입…삼성종기원 출신
8SK에코플랜트, 반도체 기술 가진 스타트업 찾는다
9EV·픽업·자율주행…기아, 다각화 전략으로 미래차 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