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항공 맞아? 치솟은 티켓값에도...소비자 구제 '모르쇠'
코로나 방역 완화 이후 LCC항공료 상승세
소비자 피해접수 '껑충'...10건 중 4건만 구제

김희곤 국민의힘(국회 정무위, 부산 동래구) 의원은 한국소비자원이 제출한 자료를 토대로 지난 5년간(2018년~2022년) 저비용항공사 소비자 피해 구제 접수 건수가 1428건에 달했다고 밝혔다.
항공사별로 보면 ▲제주항공 411건 ▲티웨이항공 282건 ▲진에어 260건 ▲에어서울 168건 ▲에어부산 106건 순이었다.

소비자 피해유형을 보면 ‘위약금 및 취소수수료 환급 요구’와 ‘운송 불이행·지연’이 각각 517건과 244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어 ‘위약금 및 취소수수료 조정 요구’ 142건, ‘위탁수하물 분실·파손’ 75건, ‘정보제공 미흡에 따른 피해 보상 요구’ 11건 순으로 드러났다.
특히 ‘코로나19 확진으로 인한 미이용에 따른 환급·조정 요구’가 237건에 달했다. 하지만 이중 환급·배상·계약이행·계약해지 등 합의 건수는 28건(28.6%)에 그쳤다.
또한 최근 5년간 피해 소비자와 저비용항공사간의 환급, 배상, 계약이행, 계약해제 등으로 합의 처리 된 사건은 582건으로 40.8%에 불과했다. 즉 저비용항공사들이 10건의 소비자 피해구제 사건 중 4건의 사건만 합의 처리를 하고 있는 것이다.
김 의원은 “저비용항공사들이 본래 취지에 맞지 않게 항공료를 높이면서 소비자 불만이 증폭되고 있다” 며 “저비용항공사들이 자유롭고 공정한 시장경제체제 속에서 서비스 개선을 위한 건전한 경쟁이 촉진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성수 신축 국평 30억 넘었다"…한 달 새 5억원 넘게 올라
2윤성에프앤씨, 롯데바이오로직스의 '하이지닉 프로세스 파이핑(Hygienic Process Piping)' 프로젝트 수주
3‘인구경영’ 기업 생존을 위한 필수 인사 전략
4기업들 채용 줄이고 신입보다 경력직 선호…청년들은 “그냥 쉬었다”
5 민주 44.8%, 국힘 35.7% 오차 범위 밖 앞서... 정권교체 56.9%, 연장 37.0%
6 트럼프 “중국과의 무역적자 해결 안되면 中과 협상 없다”
7비트코인, 트럼프 상호관세 충격에 8만달러선 붕괴
8대기업 바라기 청년들?…임금 격차 무시 못해
9해외는 열고, 한국은 막고…가상자산 거래소 격차 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