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항공 맞아? 치솟은 티켓값에도...소비자 구제 '모르쇠'
코로나 방역 완화 이후 LCC항공료 상승세
소비자 피해접수 '껑충'...10건 중 4건만 구제
![](/data/ecn/image/2022/06/10/ecnfd814e74-a5c0-4326-adba-0fd00138cd5c.559x.0.jpg)
김희곤 국민의힘(국회 정무위, 부산 동래구) 의원은 한국소비자원이 제출한 자료를 토대로 지난 5년간(2018년~2022년) 저비용항공사 소비자 피해 구제 접수 건수가 1428건에 달했다고 밝혔다.
항공사별로 보면 ▲제주항공 411건 ▲티웨이항공 282건 ▲진에어 260건 ▲에어서울 168건 ▲에어부산 106건 순이었다.
![](/data/ecn/image/2023/02/28/ecn20230228000114.600x.0.png)
소비자 피해유형을 보면 ‘위약금 및 취소수수료 환급 요구’와 ‘운송 불이행·지연’이 각각 517건과 244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어 ‘위약금 및 취소수수료 조정 요구’ 142건, ‘위탁수하물 분실·파손’ 75건, ‘정보제공 미흡에 따른 피해 보상 요구’ 11건 순으로 드러났다.
특히 ‘코로나19 확진으로 인한 미이용에 따른 환급·조정 요구’가 237건에 달했다. 하지만 이중 환급·배상·계약이행·계약해지 등 합의 건수는 28건(28.6%)에 그쳤다.
또한 최근 5년간 피해 소비자와 저비용항공사간의 환급, 배상, 계약이행, 계약해제 등으로 합의 처리 된 사건은 582건으로 40.8%에 불과했다. 즉 저비용항공사들이 10건의 소비자 피해구제 사건 중 4건의 사건만 합의 처리를 하고 있는 것이다.
김 의원은 “저비용항공사들이 본래 취지에 맞지 않게 항공료를 높이면서 소비자 불만이 증폭되고 있다” 며 “저비용항공사들이 자유롭고 공정한 시장경제체제 속에서 서비스 개선을 위한 건전한 경쟁이 촉진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배우 김새론, 서울 성동구 자택서 사망…향년 25세
2대전 초등 살해 교사, ‘月100만원’ 공무원연금 평생 받는다
3“지구상 가장 똑똑한 AI”…머스크 야심작 ‘그록3’ 17일 첫선
4"돈 불려줄게, 신분증 좀 빌려줘"…‘명의도용 대출사기’ 피해 주의보
5'64억 잭팟' 터질까…로또 1등, 한 곳에서 5장 나왔다
6최태원 회장 등 20대 그룹 CEO, 트럼프 행정부 만난다
7“봄 오나 했더니 최저기온 10도 ‘뚝’”...월요일부터 강추위 이어진다
8합병증에 실명까지…日·美 이어 韓서 퍼지는 '이 병'은
9“‘13번째’ 아이 낳았다”…20대女 주장에 머스크가 보인 반응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