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저가항공 맞아? 치솟은 티켓값에도...소비자 구제 '모르쇠'

코로나 방역 완화 이후 LCC항공료 상승세
소비자 피해접수 '껑충'...10건 중 4건만 구제

영종도 인천국제공항 모습.[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정훈 기자] 최근 저비용항공사(LCC)들의 항공료가 대형 항공사와 비슷한 수준으로 판매되면서 소비자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 방역조치 완화 이후 저비용항공사 관련 소비자 피해구제 접수가 급증하고 있어 서비스 품질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김희곤 국민의힘(국회 정무위, 부산 동래구) 의원은 한국소비자원이 제출한 자료를 토대로 지난 5년간(2018년~2022년) 저비용항공사 소비자 피해 구제 접수 건수가 1428건에 달했다고 밝혔다.

항공사별로 보면 ▲제주항공 411건 ▲티웨이항공 282건 ▲진에어 260건 ▲에어서울 168건 ▲에어부산 106건 순이었다.
[제공 김희곤 의원실]

소비자 피해유형을 보면 ‘위약금 및 취소수수료 환급 요구’와 ‘운송 불이행·지연’이 각각 517건과 244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어 ‘위약금 및 취소수수료 조정 요구’ 142건, ‘위탁수하물 분실·파손’ 75건, ‘정보제공 미흡에 따른 피해 보상 요구’ 11건 순으로 드러났다.

특히 ‘코로나19 확진으로 인한 미이용에 따른 환급·조정 요구’가 237건에 달했다. 하지만 이중 환급·배상·계약이행·계약해지 등 합의 건수는 28건(28.6%)에 그쳤다.

또한 최근 5년간 피해 소비자와 저비용항공사간의 환급, 배상, 계약이행, 계약해제 등으로 합의 처리 된 사건은 582건으로 40.8%에 불과했다. 즉 저비용항공사들이 10건의 소비자 피해구제 사건 중 4건의 사건만 합의 처리를 하고 있는 것이다. 

김 의원은 “저비용항공사들이 본래 취지에 맞지 않게 항공료를 높이면서 소비자 불만이 증폭되고 있다” 며 “저비용항공사들이 자유롭고 공정한 시장경제체제 속에서 서비스 개선을 위한 건전한 경쟁이 촉진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배우 김새론, 서울 성동구 자택서 사망…향년 25세

2대전 초등 살해 교사, ‘月100만원’ 공무원연금 평생 받는다

3“지구상 가장 똑똑한 AI”…머스크 야심작 ‘그록3’ 17일 첫선

4"돈 불려줄게, 신분증 좀 빌려줘"…‘명의도용 대출사기’ 피해 주의보

5'64억 잭팟' 터질까…로또 1등, 한 곳에서 5장 나왔다

6최태원 회장 등 20대 그룹 CEO, 트럼프 행정부 만난다

7“봄 오나 했더니 최저기온 10도 ‘뚝’”...월요일부터 강추위 이어진다

8합병증에 실명까지…日·美 이어 韓서 퍼지는 '이 병'은

9“‘13번째’ 아이 낳았다”…20대女 주장에 머스크가 보인 반응은

실시간 뉴스

1배우 김새론, 서울 성동구 자택서 사망…향년 25세

2대전 초등 살해 교사, ‘月100만원’ 공무원연금 평생 받는다

3“지구상 가장 똑똑한 AI”…머스크 야심작 ‘그록3’ 17일 첫선

4"돈 불려줄게, 신분증 좀 빌려줘"…‘명의도용 대출사기’ 피해 주의보

5'64억 잭팟' 터질까…로또 1등, 한 곳에서 5장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