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선 회복 중인데…中 보복 조치가 또 ‘발목’
국적 대형항공사, 4월 국제선 코로나19 이전 60% 회복

12일 항공업계 등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이달에 국제선 69개 노선에서 주 548회 운항할 계획이다. 인천~베이징 등 제대로 운항되지 못했던 중국 노선 정상화에 나선 것이다. 대한항공은 오는 26일엔 주 3회 일정으로 인천~취리히·프라하 노선 운항도 재개한다.
대한항공은 내달엔 국제선 78개 노선에서 주 622회를 운항한다는 목표인데, 이는 2019년의 67% 수준이다. 3월보다 주 운항 횟수를 총 74회 늘린다. 노선별로 미주 노선 주 11회, 유럽과 중동 주 20회, 동남아와 대양주 주 22회, 일본 주 14회 등이다.
아시아나항공의 경우 이달에 국제선 54개 노선에서 주 312회를 운항한다. 대한항공과 마찬가지로 중국 노선을 중심으로 운항 재개에 나선다. 이달 15일부터는 주 4회 일정으로 인천~세부 노선 운항에 돌입한다. 내달엔 55개 노선에서 주 349회를 운항할 계획이다. 이는 2019년과 비교해 62% 정도다.
국적 저비용항공사(LCC)들도 국제선 정상화에 공을 들이고 있다. 일본 노선 운항 확대뿐만 아니라 중국이나 동남아 노선 정상화에도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항공업계 안팎에선 “올해 여름 성수기에 국제선 운항이 코로나19 사태 이전의 80% 정도로 회복될 것”이란 기대감도 나온다.
문제는 중국이다. 중국이 자국민 해외 단체여행 허용 국가에서 한국을 배제하고 있어 중국 노선 정상화가 쉽지 않을 것이란 진단이다. 특히 그간 출입국 방역 규제와 관련해 마찰을 빚어온 한국과 중국 양국이 최근 한중 노선 정상화를 꾀하기로 합의했는데, 여전히 중국 정부가 외교 보복을 이어가는 상황이다. 일부에선 “우리 정부가 일제 강제 징용 피해자 배상 해법을 꾀하면서 한미일 공조가 강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반발로 중국 정부가 보복 조치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보스턴 펜웨이파크에 LG전자가 설치한 ‘초대형 LED’ 정체는?
2곤봉으로 유리창 ‘쾅’...尹 파면에 경찰버스 부순 남성 ‘구속’
3대구 산불 진화 중 헬기 추락…조종사 1명 사망
4기아, 다문화 청소년 위한 ‘하모니움’ 교육 프로그램 본격 가동
5티웨이항공, 유럽 항공권 프로모션 실시
6 대구 북구 산불 진화 헬기 추락
7 尹 "자유와 주권 수호를 싸운 여정, 역사로 기록될 것"
8“트럼프, 손 떼라”...美 전역서 ‘反트럼프 시위’ 열려
9머스크 “美·EU, 무관세 필요해”...‘관세 폭탄’ 트럼프와 ‘엇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