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시즌12, ‘미드’ 아닙니다”…때마다 혜택 바뀌는 ‘알짜 체크카드’
카뱅 ‘프렌즈 체크카드’ 시즌 12, 10개 브랜드 월 1회 캐시백
토스뱅크·케이뱅크는 영역별 일 1회 캐시백 체크카드 서비스
업계 “시즌제 프로모션, 시장 트렌드와 고객 수요 반영 용이”

15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유효기간이 활성화돼 있는 국내 체크카드 발급 수는 총 1억509만장이다. 2018년 말 최고치(1억1142만5000장)를 기록한 후 최근 5년 동안 꾸준히 감소한 것이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금융이 활성화되면서 실물 카드 사용이 줄고, 여러 간편결제(페이)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체크카드의 필요성이 축소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이 같은 전반적인 체크카드 시장의 쇠퇴 추세와 다르게 인터넷은행과 핀테크 체크카드는 ‘카드테크(카드+재테크)’족들에게 인기다. 이들 체크카드는 기존 카드사가 3년 고정의 혜택을 제공하는 것과 다르게 시즌제를 선택해 수개월마다 혜택을 변경하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으로 쿠팡에서는 5만원 이상 결제 시 3000원을, 올리브영에서는 3만원 이상 결제 시 2000원을 받을 수 있다. 스타벅스의 경우 1만원 이상 결제 시 1000원을 돌려주며, 휴대전화요금도 5만원 이상일 시 3000원을 캐시백해준다. 이외에도 반려동물·배달·주유 등 총 10가지 브랜드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브랜드마다 최소 결제 금액과 최대 캐시백 한도가 다르니 체크해둘 필요가 있다.
토스뱅크의 ‘토스뱅크카드’는 지난 1일 새로운 혜택 프로모션인 에피소드4를 시작했다. 에피소드4는 8월 31일까지 진행되며, 혜택 영역마다 하루에 한 번 캐시백해준다. 특히 에피소드3에는 없었던 ‘구독’ 영역이 추가됐다. 넷플릭스·디즈니플러스·쿠팡 와우멤버십·네이버플러스 멤버십이 해당된다. 건당 1만원 미만 결제 시에는 100원, 그 이상 결제 시에는 500원을 캐시백해준다.
케이뱅크의 ‘마이(MY) 체크카드’의 경우 시즌제를 도입하지 않은 점이 눈에 띈다. 토스뱅크와 마찬가지로 일 1회만 캐시백을 받을 수 있다. 이 카드는 편의점·카페·패션·영화·도서·구독 등 10가지 영역에서 5000원 이상 결제할 때마다 300원을 할인받을 수 있다. 전월 실적 30만원을 채웠다면 캐시백 혜택은 500원으로 늘어난다.

NHN 페이코의 ‘페이코 포인트 카드’는 혜택이 매월 달라지는 게 특징이다. 이 카드는 기본적으로 온라인 1%, 오프라인 0.5% 페이코 포인트 적립 혜택을 준다. 여기에 매달 달라지는 다양한 브랜드에서 최대 10%(월 최대 1만점)를 적립해준다. 최대 적립 한도가 정해져 있기는 하나 횟수 제한이 없는 것이 큰 장점이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인터넷은행은 온라인 채널을 통한 비대면 모집만 하므로 불필요한 광고·모집비용이 들지 않는다”며 “고객들이 당행 서비스를 더 자주 이용하게 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즌이 바뀔 때마다 시장 트렌드와 고객 수요를 고려하여 혜택처를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며 “이번 시즌12에서도 코로나19를 경험하며 수요가 급증한 업종(인테리어)과 보다 많은 고객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일상 업종(병원)을 추가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트럼프, 손 떼라”...美 전역서 ‘反트럼프 시위’ 열려
2머스크 “美·EU, 무관세 필요해”...‘관세 폭탄’ 트럼프와 ‘엇박자’
3국회 벚꽃, 올해는 멀리서...“봄꽃 축제 기간 외부인 출입 제한”
4 민주 "민간인 尹·김건희 신속 수사를…국헌문란 증명돼"
5국민신문고에 쏟아지는 분노…불만 3대장은 ‘이동통신·상품권·항공’
6 산불때 주민 대피 도운 인니 국적 3명에 '장기체류 자격' 부여
7직장인 70% “尹 탄핵 촉구 집회, 민주주의에 긍정적”
8 차기는 이재명 54.5%...尹파면 잘한 일 65.7%
9尹 탄핵 인용 뒤 ‘쾅’…경찰버스 파손 남성 ‘구속 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