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하기 쉬운 ‘마약’…10대 마약사범 4년새 3배 늘어
인터넷 검색으로 손쉬운 거래
식품 이름에 ‘마약’, 경각심 저하

23일 경찰청이 국민의힘 정우택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검거된 마약사범 1만2387명 중 10대는 294명(2.4%)으로 집계됐다.
2018년 검거된 마약사범 8107명 중 10대가 104명(1.3%)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약 3배 늘어난 것이다. 같은 기간 전체 마약사범이 1.5배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청소년 마약사범의 증가폭이 훨씬 컸다.
인터넷에선 각종 마약을 뜻하는 은어를 검색하면 판매 경로를 안내하는 글이 쏟아진다. 다크웹과 텔레그램에서도 손쉽게 마약을 구매할 수 있다.
실제로 지난달 6일 서울 동대문구에선 중학생 A(14)양이 텔레그램으로 산 필로폰을 동급생 2명과 함께 나눠 투약하는 일이 벌어졌다.
A양은 호기심으로 인터넷에 ‘마약’을 검색했고, 판매자가 보낸 텔레그램 초대 링크를 통해 송금하고 ‘던지기’ 수법으로 필로폰 1회분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사회적으로도 식품 명칭이나 상호에 ‘마약김밥’, '마약떡볶이’ 같은 표현을 남용해 젊은 층이 마약에 대한 심리적 경각심이 허물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최근에는 슈퍼푸드(건강식품)로 알려진 ‘헴프 씨드’(대마 씨앗)를 넣은 커피를 ‘대마커피’라며 광고·판매하고, 간판에 대마초 모양까지 그려넣은 커피숍도 등장했다.
대마는 종에 따라 환각 성분인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함유량에 차이가 있다. THC가 6∼20%로 높은 종은 마약인 마리화나로 분류되고 THC가 0.3% 미만으로 낮은 종은 ‘헴프’로 불린다.
앞서 지난달 경찰청은 ‘청소년 마약범죄 예방 교육자료 제작’ 용역 입찰 공고를 냈다. 청소년 마약범죄 예방에 대한 표준화한 강의자료나 학교전담경찰관(SPO) 대상 자료가 부재하다는 판단에서다.
이번 연구로 초등·중등·고등학교별 자료를 만들고 ▲펜타닐 ▲다이어트약 ▲공부 잘하는 약 ▲대마·엑스터시 ▲청소년유해약물(환각물질) 등 약물 성격에 따라 예방자료를 제작할 계획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보스턴 펜웨이파크에 LG전자가 설치한 ‘초대형 LED’ 정체는?
2곤봉으로 유리창 ‘쾅’...尹 파면에 경찰버스 부순 남성 ‘구속’
3대구 산불 진화 중 헬기 추락…조종사 1명 사망
4기아, 다문화 청소년 위한 ‘하모니움’ 교육 프로그램 본격 가동
5티웨이항공, 유럽 항공권 프로모션 실시
6 대구 북구 산불 진화 헬기 추락
7 尹 "자유와 주권 수호를 싸운 여정, 역사로 기록될 것"
8“트럼프, 손 떼라”...美 전역서 ‘反트럼프 시위’ 열려
9머스크 “美·EU, 무관세 필요해”...‘관세 폭탄’ 트럼프와 ‘엇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