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연제약, 황반변성 유전자 치료제 캐나다 임상 1·2a상 승인
올해 3분기 임상 개시…미국으로 임상 확대

NG101은 ‘아데노 부속 바이러스’(AAV) 벡터 기반 유전자 치료제 후보물질이다. 이연제약은 이 물질을 바이오 기업인 뉴라클 제네틱스와 공동 개발하고 있다.
이연제약은 뉴라클 제네틱스와 2020년 체결한 계약을 통해 이 물질의 원료와 완제에 대한 독점 생산권과 공급 권리를 확보했다. 충북 충주의 바이오 공장에서 NG101의 임상 시료와 상용화 생산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연제약에 따르면 기존 습성 노인성 황반변성 항체치료제는 수개월마다 안구 내 주사 투여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회사 측은 “NG101은 유전자 발현을 최적화해 치료 효과를 지속할 수 있는 구조이며, 망막하 투여로 적은 양의 치료제로도 높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2021년을 기준으로 노인성 황반변성 시장은 세계적으로 98억 달러(약 13조2000억원) 규모다. 이 시장은 매년 7%씩 성장해 2030년에는 180억 달러(약 24조1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용환 이연제약 대표는 “이번 승인을 통해 pDNA와 바이러스 기반 유전자 치료제 등 여러 바이오의약품을 종합 생산하는 기업으로 도약하게 됐다”며 “다른 기업들과 진행 중인 공동 개발 파이프라인에서도 구체적인 성과를 낼 것”이라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몇호가 이 가격에 내놨어?”...아파트 단톡방 담합에 칼 뺐다
2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3“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4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5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6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
7결론 임박한 KDDX 사업...‘공동설계’ 실현 가능성은
8오밤중에 용산 노후 아파트 천장 붕괴…20kg 콘크리트 덩어리 ‘아찔’
9‘벼랑 끝’ 고려아연 핵심 기술진 “영풍·MBK 무법질주 막아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