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미국서 다발성경화증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임상 3상 승인
오크레부스 시밀러…6조 시장 공략
임상 3상 속도…“퍼스트 무버 될 것”

이번 임상은 512명의 재발 완화형 다발성경화증 환자를 대상으로 CT-P53과 오크레부스의 유효성과 약동학적 특성, 안전성을 비교하기 위해 진행된다.
오크레부스는 재발형 다발성경화증과 원발성 진행형 다발성경화증 등을 치료할 때 쓰는 약물이다. 지난해 매출은 9조원으로 다발성경화증 치료제 중에서 매출 1위를 기록했다. 미국 시장은 오크레부스의 전체 매출 가운데 70%를 차지하며 시장 규모는 60억3600만 스위스프랑(약 6조6600억원) 정도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신규 파이프라인인 CT-P53이 미국에서 임상 3상을 승인받아 본격적으로 임상 절차에 돌입하게 됐다”며 “임상 3상에 박차를 가해 CT-P53이 오크레부스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 퍼스트 무버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셀트리온은 연내 졸레어의 바이오시밀러인 ‘CT-P39’과 스텔라라의 바이오시밀러인 ‘CT-P43’, 아일리아의 바이오시밀러인 ‘CT-P42’, 프롤리아의 바이오시밀러 ‘CT-P41’, 악템라의 바이오시밀러 ‘CT-P47’ 등의 품목허가를 신청할 계획이다. 오는 2025년까지 바이오시밀러 제품 포트폴리오를 11개로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정부, 대선 6월 3일로 잠정 결정…내일 국무회의서 확정
2 거래소, 코스피 매도 사이드카 발동…8개월 만
3과천펜타원, 강남 접근성 갖춘 대규모 지식산업센터 본격 분양 돌입
4"성수 신축 국평 30억 넘었다"…한 달 새 5억원 넘게 올라
5윤성에프앤씨, 롯데바이오로직스의 '하이지닉 프로세스 파이핑' 프로젝트 수주
6‘인구경영’ 기업 생존을 위한 필수 인사 전략
7기업들 채용 줄이고 신입보다 경력직 선호…청년들은 “그냥 쉬었다”
8 민주 44.8%, 국힘 35.7% 오차 범위 밖 앞서... 정권교체 56.9%, 연장 37.0%
9 트럼프 “중국과의 무역적자 해결 안되면 中과 협상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