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이창용 한은 총재 "기준금리 3.75% 가능성 열어둬"

이 총재 7월 기준금리 관련 기자회견
"물가 상승률 내년에 2%대로 떨어질 것"
"물가 목표치로 수렴하는 확신 들어야 인하 논의 가능"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 모습 [사진 한국은행]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금융통화위원 6명 모두 3.75%(로 추가 인상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물가가 다시 오를 가능성이 있어 연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논의할 때가 아니라는 점도 강조했다. 

13일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 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향후 기준금리 방향과 관련해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먼저 물가와 관련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달 2.7% 기록했지만, 8월 이후 다시 올라서 연말에는 3% 내외로 움직일 것이라는 게 저희 전망"이라며 " 내년에 2%대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상황에서 연내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이야기를 할 수 없다"면서 "물가 목표인 2%로 충분히 수렴하는 과정에 도달했다는 확신이 들 때 인하를 논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금리 인하를 논의하는 금통위원들도 아직 없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로 낮아졌지만,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과연 금리를 몇 번 더 올릴지 불확실성이 크고 외환시장이 어떻게 변화할지 봐야 한다"며 "근원물가가 여전히 높고 가계부채가 어떻게 움직일지도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런 이유로 이 총재는 최종금리 수준과 관련해 "금융통화위원 6명 모두 3.75%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 총재는 최근 가계대출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점과 관련해 "이번 금통위 회의에서 여러 금통위원들이 가계부채 증가세에 많은 우려를 표했다"며 "이 문제는 정답이 있는 것이 아니고 정교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단기적으로 급격히 조정하려 하면 의도치 않은 부작용 가능성이 있다"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문제나 역전세난, 새마을금고 사태 등이 그런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지금은 단기적으로 부동산 시장 연착륙을 위해 자금흐름의 물꼬를 뜨는 미시적 대응이 필요하다"며 "중장기적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줄이는 거시적 대응에도 균형 있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한미 금리차가 더 확대돼 환율이 다시 오를 수 있다는 전망과 관련해 "환율이 한미 금리 격차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결정에 기계적으로 대응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한편 이날 한은은 기준금리를 연 3.50% 동결했다. 올해 2월과 4월, 5월에 이어 4번 연속 동결 조치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원/달러 환율, 관세전쟁 격화 우려에 1,470원대 위협

2AI 핀테크 혜움, 105억 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성공

3GS네오텍 “AI 도입 이제 실전”…기업 AI 도입 실무 전략 제시

4트럼프 관세 일시 정지? 정면 반박…"중국엔 추가 관세를"

5트럼프 "상호관세 발효 유예 고려하지 않는다"

6유사나, ‘피지 에너지 드링크 시트러스 베리맛’ 출시, 일상에 건강한 에너지와 활력 지원

7뉴욕증시, 美 관세정책 불확실성에 '롤러코스터 장세'…나스닥만 반등

8뉴욕유가, 美-中 관세전쟁에 급락세 지속…WTI 2%↓

9 삼성전자 1분기 영업이익 6조6천억원…작년 동기 대비 0.2%↓

실시간 뉴스

1원/달러 환율, 관세전쟁 격화 우려에 1,470원대 위협

2AI 핀테크 혜움, 105억 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성공

3GS네오텍 “AI 도입 이제 실전”…기업 AI 도입 실무 전략 제시

4트럼프 관세 일시 정지? 정면 반박…"중국엔 추가 관세를"

5트럼프 "상호관세 발효 유예 고려하지 않는다"